앵커 : 개성공업지구의 발전적 정상화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공동위원회가 어제 개성에서 열렸습니다. '3통 문제'와 근로자 임금 문제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됐지만, 구체적인 합의는 없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업지구 남북공동위원회 회의가 6개월 만에 재개됐습니다. 회의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개성공업지구 내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렸습니다.
남측의 통일부에 따르면 남북 양측은 26일 오후 5시 10분까지 회의를 진행했지만, 구체적인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습니다.
통일부 관계자는 “양측이 서로의 입장을 개진하고 확인하는 정도에 머물렀다”고 전했습니다.
오랜 만에 열려 만남 자체가 다소 어색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날 오전 회의장 분위기는 의외로 밝았다고 남측 당국자들은 전했습니다.
회의에는 남측에서 이강우 통일부 남북협력지구발전기획단장이, 북측에서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이 수석 대표로 나섰습니다.
이강우 (남측 수석대표): 북측하고 힘을 합쳐서 좋은 토론을 해서 개성공단이 발전을 이루는 좋은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합니다.
박철수 (북측 수석대표): 공업지구 사업이 앞으로 잘 될 수 있는 기회가 아닌가 이렇게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이날 회의는 그동안 논의가 중단됐던 사안들을 중심으로 이뤄졌습니다. 특히 통행, 통신, 통관 등 3통 문제와 근로자 임금 문제가 중요하게 다뤄졌습니다.
남측은 상시 통행을 위해 전자출입체계 전면 가동을 요구했고, 통신 문제 해결을 위해 인터넷 설치 문제도 거론했습니다.
북측은 근로자 임금 인상과 입주 기업들의 세금 징수 문제 등을 안건으로 내놨습니다.
남측은 북측의 임금 인상 요구에 대해 지난 5월 최저임금을 5% 인상하기로 합의한 만큼 더 이상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또한 세금 문제와 관련해서도 지난해 9월 개성공업지구 재가동 합의 때 어려움에 처한 기업들의 사정을 고려해 2013년도분 세금을 면제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며 북측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았습니다.
북측은 지난해 “공장이 가동된 1월부터 3월까지 세금은 내야 한다”고 요구해 와 남측 입주 기업들과 갈등을 빚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