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의 통일부는 8일 개성공단 재가동은 "재발방지 조건이 마련되고 발전적 정상화가 되는 과정에서 이뤄질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는 개성공단을 ‘아무 일 없었다는 듯’ 정상화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북측이 일방적으로 노동자를 철수해 공단의 운영을 중단하는 등의 사태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뜻입니다.
통일부 김형석 대변인은 8일 “단순하게 과거로 돌아가는 식은 안 된다”고 말하면서 재발 방지책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 발언은 남북 양측이 지난 주말 판문점 실무회담을 통해 오는 10일 개성공단에서 후속 회담을 갖고 공단 운영의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기로 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실무회담 합의문의) 서문에 '발전적 정상화에 대해서 인식을 같이 했다', 이것이 짧은 표현입니다만, 여러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그 속에는 우리가 말한 것처럼 북한 측의 일방적인 조치로 인해서 개성공단이 중단되는 사태는 다시는 있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우리가 이번 회담에서 분명히 지적했고…
박근혜 대통령도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앞으로 남북관계가 잘 성사되려면 상식과 국제적 규범에 맞는 합의를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진 합의는 반드시 지켜져야 신뢰가 쌓이고 발전적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지난 주말 개성공단 관련 실무회담에서 남북간 합의가 이뤄져 기업들이 완제품과 원·부자재 설비 등을 반출할 수 있게 돼 다행"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박근혜 대통령은 "합의를 깨는 것과 같은 잘못된 일들의 재발을 막는 것은 단지 개성공단 문제 해결에 국한되는 게 아니라 앞으로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개성공단 사태는 북측이 ‘키 리졸브’ 한미 합동 군사훈련에 맞서 ‘1호 전투근무태세’를 발령하는 등 한반도 긴장을 높이는 가운데 남측 근로자의 개성공단 출입을 4월 3일부터 일방적으로 제한하면서 시작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