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남측이 7월 10일에 열자고 북측에 제의한 개성공업지구 분과위원회 회의가 북측의 비협조로 결국 무산됐는데요. 남측의 입주 기업들은 "통행·통신·통관 등 3통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며 조속한 회의 개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이현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업지구 발전을 위한 남북 간의 협력이 또다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기대됐던 남북공동위원회 산하 3통 분과위원회 회의도 무산됐습니다.
남측 당국이 먼저 7월 10일 개최를 제안했지만, 북측은 아무런 답을 주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11일 전화통화에서 “지난달에 열린 남북공동위원회 전체회의로 이번에 분과위원회 회의가 열릴 것으로 기대했다”며 “이번 회의 무산은 전적으로 북측의 책임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개성공업지구 분과위원회 회의는 원칙적으로 매달 1회 열리게 돼 있지만, 지난 2월 이후로 한 번도 열리지 않고 있습니다.
남측 당국은 앞으로도 개성공업지구 분과위원회 회의 개최를 북측에 지속적으로 요구한다는 방침입니다.
개성공업지구는 지난해 가동 중단 사태가 벌어지는 등 최악의 시기를 보냈습니다.
다행히 사태 5개월 만에 공장 가동이 재개됐지만, 남북관계 경색이 이어지면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처리되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통행·통신·통관 등 3통 문제 해결이 시급합니다.
옥성석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 : 출입에 관한 전자시스템은 이미 다 갖춰졌습니다. 남은 것은 남북이 합의해 시행만 하면 되는데, 회담 자체가 열리지 않으니 안타깝습니다
앞서 북측은 지난 6일 서해 군 통신선을 통해 개성공업지구에 반입금지 물품을 반입하다 적발될 경우 해당 인원에 대해 하루 또는 이틀 통행금지 조치를 취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북측은 종전까지만 해도 반입금지 물품의 적발 시 벌금을 부과해왔습니다.
이에 대해 개성공업지구 입주 기업들은 “북측의 일방적 통보는 수용할 수 없다”며 “향후 당국 간의 협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