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근로자 ‘벤젠 중독’ 증세

0:00 / 0:00

앵커: 개성공단 내 북측 근로자 중 일부가 벤젠에 중독된 증세를 보이고 있다고 북측이 주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남측은 정밀 조사를 위해 해당 공정을 중단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단 내 남측 기업이 발암 물질 중 하나인 벤젠을 생산 공정에서 사용했는지 여부를 놓고 남북 양측이 공방전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개성공단 내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 두 곳에서 일하던 근로자 “수십 명”이 발열과 두통 등의 증세를 보인 것은 “지난달 말부터”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측은 “벤젠 중독이 원인인 것 같다”고 주장했고, 이에 따라 개성공단관리위원회는 정밀 조사를 위해 해당 공정의 가동을 중단시켰다고 남한의 통일부가 27일 밝혔습니다.

지난 2004년 개성공단 가동을 시작한 이래로 공장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로 인해 북측 노동자의 건강이 악화됐다는 주장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공정은 자동차 운전대의 덥개 등을 만들기 위해 가죽에 열을 가하는 작업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공정을 제외한 다른 작업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최대 관심사는 과연 작업 공정에서 벤젠이 사용됐는지 여부입니다.

통일부는 “개성공단관리위원회가 1차적으로 조사한 결과, 해당 사업장은 벤젠이 포함된 물질을 취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습니다. 북측의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대목입니다. 따라서 정밀 역학 조사가 필요하다는 게 남측의 입장입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우리들이 보기에는 벤젠으로 인한 효과가 두통이나 메스꺼움, 이런 것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아마 북측에서는 그런 것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하겠지만, 그 연관성에 대해서도 우리들은 객관적 조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북측이 현장 역학조사를 거부하고 있다는 점이며, 이에 따라 개성공단관리위원회는 해당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시료를 남측으로 갖고가 정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임 대변인은 전했습니다.

만약 북측의 주장이 사실일 경우, 피해 보상을 어찌할 것인지도 관심사입니다.

통일부는 개성공단 업체들이 북측에 임금과 함께 매달 사회보장비를 지불하는 만큼 이번 일로 인한 별도의 보상은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이번 사건이 “해당 사업장의 작업 환경으로 인해서 발생한 것이라고 확인이 된다면 당연히 그 해당 사업장은 그 작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임병철 대변인은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