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의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안전한 방북을 허용해줄 것을 북한에 촉구했습니다. 조 장관은 또 이달 하순부터 다음 달까지를 북한 문제를 풀기 위한 중요한 기간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가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 승인에 필요한 신변안전보장, 통행 관련 등의 조치를 취해달라고 북한에 촉구했습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24일 기자설명회에서 이같이 말하고 북한이 개성공단 내 한국 기업들의 자산을 훼손하는 것은 불법적인 침해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스스로 합의한 개성공단 투자보장 합의서 등을 준수해야 한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현재 한국 정부는 북한이 폐쇄된 개성공단을 임의로 가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한이 공단을 임의로 가동하고 있다고 단정지을 만한 동향은 아직 포착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개성공단 재개 여부에 대해선 북핵 문제의 해결 국면에서만 풀 수 있다고 조 장관은 강조했습니다.
또한 조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동북아 순방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기간을 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동북아 순방을 앞둔 10월 하순부터 APEC 정상회담이 열리는 11월 중순을 국면 전환의 기회로 삼겠다는 겁니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북한 문제 해결의 수단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조 장관에 따르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국제장애인올림픽위원회(IPC)는 북한이 평창 올림픽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협조하고 있습니다. 북한도 국면 전환을 위해 올림픽에 참가를 염두에 두고 있을 것이라고 조 장관은 전망했습니다.
조명균 장관은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한 노력을 벌이면서도 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한달 반 가까이 도발을 감행하지 않고 있지만 여전히 추가 도발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지난 9월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성명을 통해 ‘사상 최고의 초강경 대응조치’를 언급한 만큼 북한이 도발을 하지 않는 것도 이례적이라고 한국 정부는 보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한이 핵 고도화를 진행한 만큼 ‘적화 통일’을 다시 말할 상황이 올 수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은 핵을 생명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핵 포기 가능성은 낮다”면서 “그렇다고 한국 정부가 비핵화 정책을 포기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