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대북 식량지원 협의 잘 안돼"

0:00 / 0:00

미국은 지난 달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의 방북 때 분배 감시를 포함해 식량지원 재개를 위한 조건을 북한 측과 논의했지만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달 방북 때 이뤄진 미국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와 북한 당국 간 식량지원 재개에 관한 논의가 별 성과없이 끝났다고 복수의 미국 의회 소식통이 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의회 소식통은 구체적인 협의 내용에 대해선 알지 못한다면서도 "당시 논의가 그리 잘 진행되지 않았다고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이 요구한 분배 감시 강화와 2009년 임의 분배된 식량 2만2천 톤에 대한 해명과 보상 요구에 대해 북한이 만족할 만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킹 특사는 지난 2일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이 두 문제의 해결이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 재개의 전제 조건임을 밝힌 바 있습니다.

한반도 문제에 밝은 한 의회 소식통은 미국은 문제가 되고 있는, 잔여 식량 2만2천 톤의 임의 분배와 관련해 북한이 이를 변상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전해 이같은 분석을 뒷받침했습니다.

미국 국제개발처(USAID)가 2만2천 톤의 식량 구매와 운송 비용으로 950만~1천만 달러를 추산했고 이를 북한이 변상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 의회 소식통은 다만 북한이 이 비용을 꼭 수표로 미국 측에 건네달라는 게 아니고, 이번에 식량지원이 재개될 경우 수송비용 중 일부를 북한 측이 부담하는 방식 등으로 간접 변상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직접 변상뿐 아니라 간접적인 방식으로라도 북한 측이 합의를 어기고 마음대로 나눠준 식량에 대해 그 대가를 꼭 지불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 의회 소식통은 북한 당국이 당시 일방적으로 구호요원을 추방한 상태에서 임의로 분배한 식량에 대해 분명하게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게 미국의 확고한 입장이라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