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외화벌이 위해 인력수출 증강

0:00 / 0:00

앵커 : 북한이 최근 해외 파견 근로자의 모집요건을 완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앙당 자금(외화벌이)을 위해 인력수출을 더 늘리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현지소식통들은 지적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더 많은 외화벌이를 위해 해외파견 근로자의 선발기준을 일부 완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외파견 인력을 통한 외화벌이가 북한이 당초 예상했던 목표에 미달하자 당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인력수출을 더욱 늘리려는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비난했습니다.

22일 평안남도의 한 소식통은 “해외파견근로자에 대한 모집기준이 일부 해제돼 해외로 나가려는 주민들이 더욱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라며 “총각과 비당원은 해외파견에서 제외하던 모집기준이 최근 해제되면서 지원자가 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예전에는 노동당에 입당하지 못한 비당원과 미혼자에 한해서는 해외파견을 일체 금지했다”며 “이 같은 조건은 해외에서 근로자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북한 내 부양가족을 볼모로 하는 일종의 인질 정책”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금도 평양을 중심으로 해외파견 근로자모집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힌 소식통은 “미혼과 비당원에 대한 제한이 해제되자 중앙급 대학을 졸업한 인재들도 해외파견 근로자를 희망하고 있다”며 명문대학을 졸업했다 해도 북한 내부에서는 별로 할 게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지방에서도 해외파견 근로자 모집에 경쟁이 치열한데 의료와 건설업, 제조업, 농업 외에도 다양한 업종의 근로자들이 모집대상에 속한다”며 “해외근로자들의 수입이 실제보다 부풀려지면서 지원자들 간의 경쟁이 과열되는 양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황해북도의 한 소식통은 같은 날 “해외에 나가 돈을 벌겠다는 주민들이 급증하면서 여러 가지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며 “그 중 대표적인 예가 해외파견근로자로 뽑히기 위해 뇌물을 고이느라 1인 당 1천 달러정도의 빚을 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국내에서는 각종 행사와 무상노동 동원에 시달려도 개인에게는 아무런 이익을 바랄 수 없지만 외국에 가면 식구도 줄고 적게나마 보수를 챙길 수 있다”며 최근에는 식품제조 분야와 농업, 식당일들에 여성지원자가 늘고 있는 실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해외파견 근로자가 현지에서 사고를 당하거나 장기치료가 필요한 병이라도 나면 치료대신 곧바로 귀국조치 된다”고 전한 소식통은 “그렇게 귀국한 근로자들에 의해 해외파견 근로자의 열악한 상황이 낱낱이 알려져 주민들을 실망케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들은 “해외에 파견된 근로자들은 외부와 철저히 단절된 상태에서 12~14시간씩 강도 높은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면서 “그나마 계약당시 당국으로부터 약속 받은 돈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