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의 최대 외화벌이 수단의 하나인 노동자 해외파견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외에 파견할만한 자격을 갖춘 노동인력이 부족한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한의 주요 외화벌이 수단의 하나인 노동인력의 해외파견 사업이 최근 들어 삐걱거리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중국의 변경도시에서 수산물 가공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왕모 씨는 “북한 노동자를 파견해주도록 무역 주재원을 통해 요청한 지 두 달 가까이 됐는데 아직 사람을 뽑고 있으니 좀 더 기다려 달라고만 한다”고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는 단순 노동자를 요청했는데도 자격을 갖춘 사람을 뽑는데 시간이 걸린다니 무슨 얘기인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이와 관련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의 내부사정을 잘 모르는 사람에게는 엉뚱한 답변이라 생각되겠지만 북한당국은 해외에 파견할 노동자는 토대와 성분을 매우 까다롭게 검증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탈북자의 친인척이나 남한이나 중국에 친인척이 있는 사람, 보위부 등 주요기관에 근무하는 사람들의 친인척 등은 해외 파견노동자 선발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소식통은 지적했습니다
“더구나 한번 해외에 파견했던 노동자는 다시 해외로 내보내지 않기 때문에 날이 갈수록 해외에 파견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이 고갈될 수밖에 없다”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평안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한 몫 단단히 챙길 좋은 기회로 알려진 해외파견 노동자의 선발을 맡은 관료들은 자격을 갖춘 사람이라도 뇌물을 고일 만한 능력이 있는 사람을 뽑기 때문에 (해외파견)노동자 선발 작업이 늦어질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저희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최근 해외파견 노동자들에 대한 북한당국의 임금착취와 임금체불이 더욱 심해져 해외파견 노동자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인기가 점차 시들해지고 있다고 보도해드린 바 있습니다.
중국의 경기 침체와 환경보호 강화 등으로 올 들어 북한의 석탄을 비롯한 지하자원 수출이 부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해외 노동자파견 사업마저 차질을 빚으면서 북한의 외화부족 사태는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