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남한 상품의 유통을 단속하면서도 이미 사용 중인 남한 제품들에 대해서는 생산지와 한글상표를 지우도록 요구할 뿐 회수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장마당에서는 한국 상품의 유통을 금지하면서도 개인들 간의 직거래는 크게 단속하지 않는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주민들이 이미 사용 중인 한국산 제품은 한글 표시를 지운 것만 확인하고 회수는 하지 않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언급했습니다.
2일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장마당에서는 한국산 제품을 무조건 몰수하고 있으나 개인들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한국제품은 회수하지 않고 있다”며 “다만 한국산임을 표시하는 글자들은 제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북한에서는 아직도 집안에 어떤 가전제품과 가구들을 갖추고 있는가에 따라 개인의 경제력이 평가되고 있다며 강력한 단속에도 불구하고 간부들과 중산층들 속에서 한국산 제품은 여전히 인기가 높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주민들속에서 한국산으로 제일 인기가 높은 가전제품으로는 말하는 밥가마(전기밥솥)와 믹서기, 개성공업지구에서 생산된 전기장판 등이고 그 외 사치품으로 한국산 카메라, 컴퓨터, 메모리칩과 같은 것들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산 제품들은 개성공업지구와 제3국을 통해 북한으로 유입되는데 합법적으로 세관을 통관할 수는 없고 세관 간부들이 감히 거스를 수 없는 보위부 해외 파견요원들과 무역기관 최고 간부들이 갖고 들어온다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두만강에 위치한 북·중 세관들은 한국제품에 대해 너무도 강하게 단속하고 있어 중국을 드나드는 사사여행자들과 일반 외화벌이 일꾼들은 애당초 한국산을 들여올 생각을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북한 세관들은 사사여행자의 짐을 실은 5톤 적재 화물차를 보통 세 시간 넘게 검열하고 있다"며 검열과정에서 조금이라도 이상한 물건이나 한국산 제품이 나오면 가져간 물건을 다 팔아도 갚지 못할 만큼의 벌금이 부과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힘없는 사람들은 아무리 돈을 써도 한국산 제품을 들여 올 엄두를 못 내지만 힘 있는 간부들은 세관을 통해 한국산을 대량으로 들여오고 있다”며 “한국제품은 자주 해외에 나가지 못하는 간부들과 부자들속에서 아주 인기가 높다”고 말해 북한 상류층들의 한국제품 사용실태를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