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의 비정부기구가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의 요청으로 진행 중인 북한 지도 전산화 작업이 거의 마무리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재능기부를 통한 민간구호단체인 ‘지리정보체계봉사단(GISCorps)’은 북한의 종이지도를 전자지도로 전산화하는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고 밝혔습니다.
쇼레이 엘하미 봉사단 대표는 북한을 400개 구역으로 나눠 진행 중인 전자지도 작업이 8할 이상 마무리됐다고 18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2010년에 시작한 지도 전산화 작업은 구소련 때 만들어진 북한의 구역별 지도 400장을 북부 285장, 남부 115장으로 나눠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북부와 남부의 경계선은 동해 쪽의 함경남도와 강원도의 경계 지역과 서해 쪽의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의 경계 지역을 연결해서 나뉘었습니다.
지역별로는 북쪽이 전체 285개 구역 중 236개 구역의 전산화 작업이 끝났고 남쪽은 115개 구역 중 80개 구역의 전산화가 마무리된 상태입니다.
지리정보체계봉사단은 최근 후원자들에 보낸 소식지를 통해 2010년에 시작한 북한 지도 전산화 작업에 미국과 유럽, 남아메리카의 전자지도 전문가 85명이 참여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지도의 전산화 작업이란 종이지도에 표시된 산이나 강, 호수 등의 각종 자연물과 건물이나 도로 같은 인공물 정보를 수치화해서 컴퓨터로 입력하는 것으로 봉사자들이 각자 집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리정보체계봉사단은 북한의 지형 정보가 부족한 외국 구호단체들의 지원 활동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지도의 전산화 작업은 6개월 계획으로 시작됐지만, 전자 지도를 만드는 전문단체가 지원을 중단하면서 5년 이상 느린 걸음을 하게 됐습니다.
미국의 비정부기구인 ‘정보관리와 지뢰대책계획’(iMMAP)은 4년 전 북한 지도의 전산화 작업에 참여했지만,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기술 지원을 중단했습니다.
지리정보체계봉사단는 6개월 단위로 봉사원을 모집하면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전산화 작업이 마무리 되더라도 감수와 수정, 그리고 전산지도의 인터넷 등재 등 몇 차례 과정이 남아 있다면서 북한 전자지도 작성이 최종 마무리되는 단계에 들어가면 세계식량계획 등 전자지도 작성을 요청한 국제기구와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적용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