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당국이 점차 늘고 있는 '골목장'(노점상)을 없애기 위해 새해 들어 지역별로 장마당을 더 내왔지만 별로 효과적인 대책은 못되고 있다고 소식통들이 전해왔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해 6월 26일 함경북도 무산군 장마당에서 인민보안원들과 장사꾼들의 집단 난투극 사건이 있었습니다. 당시 북한전문매체들은 “‘골목장’을 없애라는 김정은의 지시를 집행하는 과정에서 보안원들과 장사꾼들의 집단 난투극이 벌어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외국의 관광객들이 보면 망신스러우니 ‘골목장’들을 모두 없애라”는 김정은 제1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북한의 사법기관들이 일명 ‘메뚜기’라고 불리는 골목장사꾼들을 내쫒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6월부터의 일입니다.
‘메뚜기’라 불리는 장사꾼들은 북한에서 제일 취약한 계층으로 때대끼(하루벌이)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인데 이들은 장마당에서 자리를 구할 수 없는데다 장세를 낼 형편도 안 되는 사람들이라고 소식통들은 언급했습니다.
북한 사법당국은 ‘골목장’을 없앨 데 대한 김정은 제1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지난해 12월까지 ‘메뚜기’ 장사꾼들을 집중적으로 단속했는데 그 과정에서 생계를 이어갈 한 가닥 줄마저 잃게 된 하층 주민들이 강력히 저항했다고 소식통들은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새해 들어 북한은 ‘메뚜기’ 장사꾼들을 없애기 위한 대책으로 각 시, 군은 물론 농촌지역에까지 장마당을 확대하고 있다며 마땅한 장마당 부지를 찾지 못한 일부 지역에선 동사무소 마당을 임시장마당으로 주민들에게 제공했다고 그들은 덧붙였습니다.
함경북도의 소식통은 “청진시만 해도 새해 들어 각 구역마다 새로운 장마당들이 생겨났다”며 “구역 장마당까지 생겨나면서 전체 장마당의 규모는 지난해 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고 24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하지만 양강도의 소식통은 “장마당을 늘린다고 해서 인민들의 생활이 저절로 향상되는 건 아니다”며 “사람들이 물건이 없어 구매를 못하는 것이 아니라 돈이 없어 못 사고 있다”고 북한 주민들의 어려운 생활형편을 강조했습니다.
‘골목장’을 없애겠다며 대책 없이 장마당 숫자만 늘이는 건 결코 바람직한 조치가 아니라는 게 소식통의 주장입니다. 인민생활을 안정시키고 향상시키려면 무엇보다 주민들에게 일한 만큼의 대가를 돈으로 지불해야 한다고 그는 지적했습니다.
특히 소식통은 “인민반 동원과 농촌동원을 구실로 인민들의 노동력을 무상으로 착취하는 지금의 제도부터 바꿔야 한다”며 “동원이라는 구실로 아무런 대가 없이 인민을 착취하는 제도는 노예제나 다름이 없다”고 북한 당국의 주민동원을 비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