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미국 재무부는 북한이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와 투명한 금융거래와 관련한 대화를 시작했지만, 여전히 돈세탁과 테러자금지원의 가장 위험한 국가라는 주의보를 미국에서 영업하는 금융기관에 내렸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재무부 금융범죄단속반(Financial Crimes Enforcement Network)은 지난 5일 발표한 주의보를 통해 북한을 이란과 함께 돈세탁과 테러지원의 가장 위험한 국가로 지목하고 미국에서 영업하는 금융기관들이 북한과의 검은돈 거래에 연관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 보고서 크게 보기 )

재무부의 ‘돈세탁방지와 테러자금차단과 관련한 주의보’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가 지난 6월 27일 발표한 ‘돈세탁과 테러지원의 가장 위험한 국가 명단’에 북한을 가장 위험한 나라로 지목했다면서 국제기구의 결정에 따라 주의보를 발표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의보는 북한이 지난 2월부터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와 직접 대화를 시작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여전히 북한이 국제기구가 요구하는 행동규약(action plan)을 수용하지 않고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워싱턴의 금융제재 전문가인 러셀 권 변호사는 재무부의 주의보가 북한이 자행하는 불법행위에 미국의 금융기관들이 관여하지 않도록 경고하고 있다고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러셀 권 변호사 : 금융활동대책반의 돈세탁방지와 테러지원차단을 위한 권고를 북한이 받아들이지 않아서 거래주의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워싱턴 지역의 은행 관계자도 북한과의 금융거래를 경고하는 재무부의 주의보가 지난 10년간 반복되는 상황인 만큼 미국에 있는 일반은행이 북한과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워싱턴 지역 은행 관계자: 금융거래를 위한 전자 입력 절차에서 북한이나 이란 같은 위험 국가와의 거래는 모두 차단됩니다. 의심스러운 거래는 즉시 미국 금융당국에 신고해야 합니다.
한편,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는 지난 6월 파리 총회에서 채택한 성명서에서 36개 회원국에게 북한 기업이나 금융기관이 돈세탁을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는 주의보를 자국의 금융기관에 내릴 것을 권고했습니다.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는 북한과 이란을 돈세탁과 테러지원의 위험국가로 지목하면서 알제리, 에콰도르,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 4개국을 금융거래 주의국가로 발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