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과 북한이 다음 주 식량 지원과 관련된 후속 협의를 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북한 당국의 공공배급체계에서 완전히 분리해야 지원이 필요한 주민에게 혜택이 고루 돌아갈 수 있다고 대북 식량지원에 참여한 관계자들이 주장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이 24만 톤의 대북 영양지원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식량의 분배와 감시에 북한 당국이 전혀 개입할 수 없도록 보장받아야 한다고 대북식량지원의 실무를 맡았던 관계자들이 강조했습니다.
매달 2만 톤의 식량을 12개월에 나눠서 지원하기 위한 세부 협의를 위해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가 다음 주 북한 외무성 리 근 미국 국장과 만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05년 미국 국제개발처 처장으로 대북 식량지원의 실무를 맡았던 앤드루 나치오스 (Andrew Natsios) 조지타운 대학 교수는 북한 주민에게 식량을 확실하게 전달하려면 북한 당국의 개입을 철저하게 막아야 한다면서 세부협의에서 이 부분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나치오스
: 감시 요원을 수백 명 동원해도 북한의 공공배급체계를 통해 미국의 지원 식량을 분배하면 제대로 된 감시를 할 수 없습니다. 공공배급체계 자체가 굶주리는 사람을 구제하기보다는 정권 유지를 위한 도구로 활용되기 때문입니다.
나치오스 교수는 북한 당국이 미국이 보낸 식량을 빼돌리거나 분배감시를 방해하면 식량지원을 즉시 중단한다는 내용도 추가 협의를 통해 약속받아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대북지원의 실무를 맡을 미국의 비정부기구 관계자는 2008년 분배감시 때 적용된 기준이 이번 세부협상의 토대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구호단체 머시코의 조이 포텔라 대변인은 한국말을 할 수 있는 미국인을 포함한 16개 분배감시반이 24시간 전 통보로 대부분의 분배 현장을 방문할 수 있었다며 그때 수준 이상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포텔라
: 비정부기구뿐만 아니라 미국 정부도 2008년과 2009년의 분배감시 수준에 만족했습니다. 앞으로 진행될 식량지원의 기준이 될만 합니다.
머시코는 미국 정부 대북식량지원의 실무를 맡았던 5개 미국 비정부기구 중 하나입니다.
머시코 외 조선의 그리스도인 벗들, 글로벌 리소스 서비스, 사마리탄스 퍼스, 월드비전 등 5개 비정부기구가 2008년과 2009년 미국 정부의 예산으로 지원된 식량의 분배와 감시에 참여했습니다.
5개 비정부기구는 7만 1천 톤의 식량을 90만여 북한 주민에 전달했고 한국어를 할 수 있는 미국인과 북한에서 선발한 요원으로 16개 분배감시반을 구성해 자강도와 평안북도 지역의 식량분배를 감시한 바 있습니다.
한편, 미국의 5개 비정부기구는 지난1일 공동성명을 발표해 미국 정부의 대북 영양 지원을 환영한다면서 대북지원은 인도주의적 원칙에 입각해 지원이 가장 필요한 사람들에게 우선적으로 분배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