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계속되는 한반도 긴장 속에서도 인도주의적 대북지원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홍알벗 기자의 보도입니다.
스위스 정부는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인해 야기된 각종 대북제재와 한반도 긴장환경 속에서도 인도주의적 대북지원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스위스 외교부의 캐롤 월티 대변인은 2017년 한 해 동안 대북지원을 위해 800만 스위스 프랑, 미화로 약 805만 달러의 예산을 책정해 놨다고 27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자우편을 통해 밝혔습니다.
'스위스 인도주의 프로그램'이란 이름으로 스위스 정부가 마련한 대북지원금은 자연재해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주민들을 위해 쓰여지게 되며, 식수공급과 위생사업, 영양 및 식량안보사업에 주로 사용됩니다.
월티 대변인은 지금까지 스위스 정부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주민과 지역사회를 위한 인도주의 지원을 계속해 오고 있다며 "현 시점에서 그러한 대북지원 규모를 축소하거나 중단해야만 하는 납득할 만한 이유를 찾지 못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스위스 정부는 지난 2월 금융과 무역, 운송, 그리고 교육 등 네 개 분야에 걸쳐 북한에 대한 독자제재를 단행한 바 있습니다.
스위스 연방경제부 대변인: 스위스 정부가 북한에 대해 더 강력한 제재를 가하게 된 배경은 지난해 12월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응해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이행하기 위해서입니다.
결국 스위스 정부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방지를 위한 유엔의 대북제재에는 적극 동참하면서도 고통 받는 북한 주민들을 위한 인도주의 지원 역시 계속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로 인해 각국의 후원금 기부가 점점 줄고 있어 유엔 등 국제기구의 대북지원사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온정의 손길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