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한 정부가 국제기구를 통한 800만 달러의 인도적 대북지원을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냉랭한 남북관계 속에 부정적 여론이 우세해 대북지원에 관한 논란은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서울에서 노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한의 대북지원단체인 '우리민족서로돕기 운동본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인도적 대북지원의 재개를 기대했지만, 오히려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도발이 계속되면서 대북지원 사업이 불확실해졌습니다. 지난 6월에 계획했던 말라리아 방역사업도 결국 무산됐고, 다른 지원 활동도 활기를 띠지 못하고 있습니다.
남한의 또 다른 국제구호단체도 현 상황이 난감하기는 마찬가집니다. 북한의 도발로 한반도의 상황이 불안해지면서 후원 계획을 취소하거나 대북지원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강영식 사무총장: 언제 다시 대북지원 사업이나 NGO 대표단들의 북한 현지 방문이 이뤄질까는 상당히 불확실한 상황이죠. 기대가 물거품이 되면서 실망도 많이 하고, 활동이 저하된 것은 사실입니다.
이런 가운데 남한 정부는 국제기구를 통해 지난 21일 800만 달러의 대북 인도적 지원을 확정했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첫 대북지원이지만, 국민 사이에서는 부정적 여론이 우세합니다.
남한의 여론조사 기관인 '한국갤럽'이 6차 핵실험 직후인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남한 국민 1천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5%가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으면 모든 대북 지원을 중단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인도적 대북지원은 유지돼야 한다"는 답변(32%)보다 두배 이상 많습니다.
박상표 (시민): 세계에서 돌아가는 정세를 봐서 우리나라가 이북에 지원하는 것은 아주 잘못되지 않았나라고 생각합니다. 이북은 전쟁 준비만 해서 남침만 노리고 있는데, 절대 안 됩니다. 말이 안 되는 거에요.
이성철 (시민): 지원이 나쁘다고는 생각 안 하는데요, 북한은 같은 민족이기도 하고, 우리보다 못사는 나라니까 우리가 도와줄 의무는 있다고 생각해요.
여론조사 전문가는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면서 남한 국민의 대북 인식이 상당히 냉랭해졌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합니다.
하지만, 경색된 남북관계를 떠나 공신력과 투명성을 갖는 국제기구를 통해서라도 인도적 지원을 지속하는 것이 국제사회의 의무를 지키는 것이 아니겠냐?는 게 민간단체 관계자들의 반론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