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러시아가 북한에 대한 전력 공급 사업을 계획대로 추진할 의향을 재차 밝혔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러시아 정부가 현재 이행중인 대북 경제제재 아래서도 북한에 대한 전력공급을 포함한 북러 간 경제협력 사업을 계속 추진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2일 러시아 극동개발부(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알렉산더 갈루슈카 장관은 이날 러시아 언론과 회견에서 대북 송전사업 추진을 여전히 배제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갈루슈카 장관의 이날 발언은 러시아 정부가 유엔 대북제재 결의를 이행하면서도 북한과의 경제협력은 계획대로 추진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는 지난 9월 초에도 러시아에서 북한은 물론 한국에 전력을 공급하는 남북러 송전사업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힌바 있습니다.
러시아는 지난 해 극동지역 전력업체인 '라오 에스 보스토카'를 통해 북한의 나선 경제특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업 타당성 조사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극동 연해주 지역 수력발전소에서 생산된 풍부한 전력을 연해주-하산-나선을 잇는 송전 선로를 통해 북한으로 공급한다는 계획입니다.
이후 극동지역에서 북한을 거쳐 한국까지 전력을 공급한다는 복안입니다.
갈루슈카 장관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국제사회가 채택한 대북 경제제재 도입에 시간이 필요했다며 그 동안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했던 사실을 간접 시인했습니다.
또 유엔 대북제재 아래서도 북한과의 경제협력은 가능하다며 양국 간 경협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러시아 측이 북한에 전력을 공급한 뒤 그 대금을 제대로 받아낼 수 있을 지 의문이 제기되는 등 사업 추진에는 여전히 걸림돌이 많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피터슨 경제연구소 마커스 놀란드 부소장은 북한이 과거 러시아로부터 빌린 차관을 갚지 않은 전력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마커스 놀란드: 문제는 북한이 과거 빚을 갚지 않은 전례가 있다는 점이죠. 결국 양국 간 경제협력이 예정대로 진척되기 위해선 북한의 약속 이행 여부와 러시아가 정치적, 외교적 이유에서 경제적 이익과 상관없이 북한을 도울 준비가 돼 있는가가 관건입니다. 두고 볼 일이죠.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