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결핵 치료용 의약품이 조만간 북한에 추가로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남한 정부는 한국의 민간 대북지원단체인 '유진벨재단'의 결핵 의약품 반출 신청을 올해에만 두 차례 승인한 바 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측 통일부가 유진벨재단의 '결핵 치료 의약품' 반출 신청에 대해 "긍정적으로 승인을 검토하고 있다"고 23일 밝혔습니다.
통일부는 유진벨재단의 결핵 의약품 반출 신청을 올해 두 차례 승인한 바 있습니다. 이에 재단은 지난 3월과 11월 결핵 관련 의약품을 북으로 들여보냈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단체는 12월 20일 결핵 치료 의약품과 병동 자재반출 승인을 신청했습니다. 현재 단체가 신청한 결핵 의약품에 대해서는 치료의 지속필요성 등을 고려해 긍정적으로 검토 중입니다.
하지만 재단의 '병동 자재반출' 신청은 "승인이 쉽지 않다"는 것이 통일부의 입장입니다. '병동 자재'가 북한의 결핵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직접 쓰이지 않는 만큼 시급한 인도적 지원 품목은 아니라는 설명입니다.
정 대변인은 "영유아,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한다는 것이 정부 방침이고 나머지 경우는 상황에 맞게 적용해 나가야 한다"면서 "지원 사업을 어렵게 하는 책임은 북한 당국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유진벨재단이 북한의 결핵 퇴치 사업과 관련한 통일부의 입장을 비판한 것에 대해서도 정 대변인은 반박했습니다.
스티븐 린튼 유진벨재단 회장은 22일 서울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2017년 첫 물품 선적을 위해 통일부에 반출을 신청했지만 호의적인 답이 돌아오지 않았다"면서 "정책을 떠나 기본적인 인도주의적 교류는 끊으면 안 된다"고 비판한 바 있습니다.
이 주장에 대해 정 대변인은 "하반기에 결핵 의약품 반출을 승인하겠다는 이야기였다"면서 "포괄적으로 모든 것을 다 허용하겠다는 의미는 아니었다"고 말했습니다.
유진벨재단은 1997년부터 북한의 결핵 퇴치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북한 의료기관 70곳의 결핵 환자 25만여 명이 재단으로부터 치료 혜택을 받은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