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북한과 러시아 간 협력사업인 나진-하산 물류사업에도 차질을 빚게 됐습니다. 그동안 이 사업에 적극성을 띠었던 한국 정부가 투자 보류를 결정했기 때문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이 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대북제재를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정부가 동북아 물류사업의 핵심인 나진-하산 개발사업에 한 발짝 뒤로 물러섰습니다. 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여파로 볼 수 있습니다.
당초 한국 정부는 북한과 러시아의 합작회사인 나선콘트란스의 러시아 지분(70%) 중 절반가량을 매입해 간접투자 방식으로 참여할 계획이었습니다.
14일 한국의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나진-하산 물류사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보류됐습니다.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제 이 사업에 현금이 들어갈 수 없게 됐다"며 "현재로선 언제 다시 지원할지 알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3월로 예상됐던 남한 제철회사인 포스코의 나진-하산 물류사업의 본계약 성사도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게 남북경협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입니다.
나진-하산 물류사업은 러시아 하산과 북한 나진항을 거쳐 한국으로 물자를 실어 나르는 사업으로, 이 사업에는 포스코를 비롯해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현대상선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5•24 조치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한국 정부가 동북아경제협력의 발전을 위해 이들 기업에 재정 지원을 해왔습니다.
김영윤 남북물류포럼 회장: (한국 정부는) 이들 3개 기업에 남북교류협력 기금을 통해 1천억 원을 지원할 계획을 갖고 있었죠.
한편, 지난해에는 러시아산 유연탄뿐만 아니라, 중국산 생수도 나진항을 이용해 한국에 들어왔습니다. 중국산 생수 역시 나진-하산 물류사업의 일환으로 이뤄진 겁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