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특사 “미, 북 홍수피해 지원계획 없어”

0:00 / 0:00

앵커: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는 미국 정부가 북한의 홍수 피해에 대한 인도적 지원에 나설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미국 등 국제 민간단체의 대북 홍수피해 지원은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킹 특사는 26일 미국 워싱턴 DC 존스홉킨스국제대학원(SAIS)에서 열린 조찬 간담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 정부가 미국 정부에 수해 지원 요청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 정부는 대북 수해지원에 나설 계획이 없다는 것입니다.

킹 특사: 현 시점에서 북한은 미국에 지원 요청을 하지 않았습니다...미국 정부는 지원 요청이 없을 경우 지원에 나서지 않습니다.

킹 특사는 만일 북한 정부가 정식으로 수해 지원을 요청해온다면 미국 정부는 긍정적으로 이를 검토할 것인지를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즉답을 피했습니다.

'북한이 지원을 요청한다면'이란 가상의 질문에는 답변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다만 킹 특사는 미국을 포함한 국제 비정부기구(NGO)의 대북 홍수피해 지원에 대해서 미국 정부는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킹 특사: 미국 정부는 북한에서 인도적 지원 활동을 하고 있는 미국 비정부기구들을 돕기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비정부기구일 경우 미국 정부의 독자 대북제재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북 지원활동에 나서야 하기 때문에 그 규정을 어기지 않도록 안내하는 등 도움을 주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킹 특사는 북한의 핵실험과 탄도 미사일 발사 등 잇따른 도발로 민간 대북 지원단체가 자금을 모금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킹 특사는 미국 정부가 북한 인권문제를 고리로 한 대북 압박을 지속적으로 해나갈 방침을 밝혔습니다.

특히 북한 내부로 외부정보 유입을 통해 인권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주력하고 핵미사일 개발의 자금줄 역할을 하는 북한 해외 노동력 수출을 제한하는 데도 최선을 다한다는 설명입니다.

킹 특사는 한국 정부 등과 협력해 국제 사회에 북한 노동력 활용을 자제해 줄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북한의 최대 노동력 수출국이 중국과 러시아란 점에서 그 한계가 있다고 토로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킹 특사는 올해 유엔 총회에서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인권유린을 규탄하는 결의안이 채택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