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뉴질랜드의 민간단체가 북한에 긴급히 식량을 지원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이를 거절했다고 이 민간단체의 대표가 밝혔습니다.
북한을 지원하고 교류 협력의 관계를 가져온 NZ-DPRK Society의 돈 보리 이사장은 최근 뉴질랜드의 머레이 맥컬리 외무장관을 만나 세계식량계획을 통해 북한에 식량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이를 거절했다고 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돈 보리: I approached th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sking that the Government make an emergency food grant via the WFP, he declined.
보리 이사장은 뉴질랜드 정부가 북한에 대한 대북 제재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으며 현재는 북한에 어떤 관심도 갖고 있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습니다.
이에 관해 뉴질랜드 외무부의 데이브 코드니(Dave Cortney) 대변인도 현재로서 북한에 식량을 지원할 계획은 없다고 3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뉴질랜드 정부는 1995년부터 2007년까지 세계식량계획과 유엔아동기금을 통해 북한에 4백만 달러가 넘는 인도주의적 지원을 했으며 2008년 50만 호주달러 상당의 식량을 마지막으로 대북 지원을 중단했습니다. 또 뉴질랜드 정부는
최근 북한의 핵실험과 로켓 발사를 비난하면서 북한이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의 합의 내용을 이행할 경우 북한의 경제 개발에 협조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뉴질랜드 정부는 식량 지원을 거절한 것 외에도 이전부터 계획했던 북한 유학생의 초청 연수(student scholarship program)를 이행하는 일도 지지부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보리 이사장은 뉴질랜드 정부가 북한의 유학생을 국비장학생으로 초청해 영어와 IT를 비롯해 유학생들이 선택한 전공수업을 받도록 지원을 계획했지만 이에 관한 진전 사항을 확인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NZ-DPRK Society 가 문화교류의 하나로 뉴질랜드의 교사를 북한에 파견하고 뉴질랜드에서 공부하고 싶은 북한 유학생을 초청하는 사업은 지금도 계속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뉴질랜드의 윈스턴 피터즈 전 외무장관이 2007년 북한을 방문하고 서울 주재 뉴질랜드 대사가 지난 5월 북한의 평양을 다녀오는 등 간간히 외교 관계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뉴질랜드 정부는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에 따라 2000년 이후 공식적인 무역 거래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뉴질랜드산 버터를 비롯한 일부 제품이 중국을 통해 북한에 들어가며 특히 버터는 북한의 고려호텔 등에서 대량으로 구입하고 있다고 뉴질랜드의 외무부 관계자가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