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정부, 연이은 군사도발로 대북지원중단

0:00 / 0:00

앵커 : 뉴질랜드 정부는 북한이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국제사회에 대한 군사도발을 멈추지 않는 것에 대한 조치로 지난해 말부터 대북지원금 지급을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뉴질랜드 정부가 대북인도주의 지원단체에 지급해오던 자금지원을 중단했습니다.

뉴질랜드 납세자 연합(Taxpayers’ Union)이 공공정보공개법을 근거로 정부에 대북지원현황을 요청한 결과 이같은 답변을 받았다고 현지 일간지인 뉴질랜드 해롤드가 최근 보도했습니다.

게리 브라운 리 뉴질랜드 외무 장관은 대북지원금 공개와 관련한 성명에서 2008 년 이후 인도주의 민간단체에 매년 평균 미화 약 2만 달러의 자금 지원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리 장관은 2016 년 두 차례의 핵 실험 강행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북한의 도발 행위에 대한 우려로 지난해 말부터 정부 차원의 모든 자금 지원이 중단됐다고 덧붙였습니다.

뉴질랜드 외무부가 공개한 대북지원은 2008년부터 8년 동안 21만 5천 뉴질랜드 달러 즉 미화 15만 5천 달러 규모로 연평균 미화 약 2만 달러입니다.

주로 북한의 협동농장과 연계된 ‘뉴질랜드 친선 농장’에 농자재 등을 위한 자금을 지원했습니다.

뉴질랜드 정부가 지원해온 자금의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비록 민간차원의 대북지원과 교류가 이어지더라도 대북 사업을 위한 모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평가도 있습니다.

뉴질랜드의 한 민간단체는 뉴질랜드 정부의 발표로 북한을 돕는 지원 사업을 위한 모금이 어려워질 수 있다면서 학술교류 등의 비정치 분야의 지원과 교류 활동을 계속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뉴질랜드 코리아친선협회 관계자: 최근 평양의 룡복중학교 학생들의 그림을 가져와서 뉴질랜드 북섬 남쪽의 도시 로어허트에서 전시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평양의 ‘친선 농장’에 트랙터 즉 뜨락토르를 보내는 등의 대북지원활동도 계속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평양과 서울을 25번 왕복하는 거리인 1만 킬로미터나 떨어진 만큼 북한에 대해 알고 있는 뉴질랜드인이 많지 않다면서 예술 교류와 인도주의 지원활동이 서로에 대한 관심을 키우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