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단체 인도적 대북지원 점차 확산

0:00 / 0:00

MC:

한국 정부는 어제도 월드비전 등 2개 민간단체에 인도지원 물자반출을 승인했습니다. 한국 민간단체의 대북지원이 4월로 접어들면서 점차 확산되는 분위기입니다. 자세한 소식,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가 지난 1일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3만 달러 상당의 빵과 콩우유가루 지원을 승인한데 이어 4일에도 월드비전과 한국 JTS의 대북물자 지원을 추가 승인했습니다.

월드비전과 한국 JTS가 지원하는 물자 역시 어린이들의 먹을거리입니다. 지원 물자는 경의선 육로와 인천-남포 간 해로를 통해 전달될 예정입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천해성

: 오늘 반출 승인된 물자는 황해북도, 양강도 등에 탁아소, 고아원 어린이에게 지원할 영양죽, 분유 등으로 총 1억 7,600만 원 상당의 물품입니다.

한국 돈 1억 7,600만 원은 미화로 환산하면 15만 달러 정도가 됩니다. 현재까지 한국 정부의 공식 승인을 받은 민간단체의 대북지원은 모두 4건.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대북지원까지 포함하면 모두 10건입니다.

북민협, 즉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는 오는 7일 중국 심양에서 북한의 민화협 관계자들과 만나 대북지원 확대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한국 내 통일운동 단체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도 4월 안에 분유 등 식량을 전달할 계획이어서 민간단체의 대북지원 물자 반출 건은 앞으로도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천해성:

지난주부터 몇 개 단체들 개별적으로 하고 있고, 지금도 정부차원에서 영유아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민간차원의 대북지원 반출 승인을 한 이후에 계속해서 반출 신청도 들어오고 있습니다.

북한의 연평도 도발로 잠정 중단됐던 민간 대북지원이 4월 들어 갑자기 활기를 띠는 이유는 한국 정부가 3월 말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한에서 대북지원을 허용한다고 방침을 밝혔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한국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도 대북 민간단체들은 지원 대상 범위가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한정된 것에 많은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대북 민간단체 한 관계자의 얘깁니다.

관계자:

통일부에서 인도적 지원 단체를 승인해줄 때 인도적 지원 대상 자체가 당 간부라든지 군인이 아닌 일반 주민들입니다. 그리고 북한 주민들 자체가 거의 취약계층입니다.

5.24조치 이후 연평도 도발 이전까지 한국 정부가 승인한 대북지원 물자 반출 규모는 모두 100건, 미화로 약 1,300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3월 북한에 의한 천안함 폭침 사건이 발생하자 5.24 조치, 즉 5월 24일 발표한 대북 경제제재를 통해 대북지원을 영유아 등 취약계층으로 제한했으며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에는 3개월 가까이 중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