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 국무부는 북한 주민의 복지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은 계속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한반도의 비핵화와 북한 주민에 대한 지원은 별개라는 설명입니다.
노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무부는 한반도의 비핵화와 북한 주민의 복지 개선은 별개 사안이며 미국의 비정부기구와 함께 북한 주민을 돕기 위한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고 16일 밝혔습니다.
미국 국무부의 고든 두기드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탈북자를 돕거나 대북전단을 날리는 등 북한 안팎에서 활동하는 민간단체의 활동이 미국의 대북 정책에 악영향을 주지 않느냐는 질문에 북한은 스스로 고립을 자초했으며 미국 정부는 북한 주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민간단체를 지원해 왔다고 답했습니다.
또 두기드 부대변인은 핵개발에 전념한 북한 당국이 중단을 요청하기 전까지 미국 정부는 북한 주민의 굶주림을 완화하기 위해 식량을 지원했으며 지금도 북한 주민의 삶을 개선하는 데 있어 북한 주민을 돕고 있는 비정부단체를 활동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Gordon Duguid: We do rely o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ho can work in North Korea to try and help the lives of ordinary North Koreans. If helping improve the lives of ordinary North Koreans is a problem, if it's an aggravation, I don't understand it.
또 북핵 문제와 북한 주민의 복지는 별개의 사안이라며 미국 정부는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한 노력을 전개하면서 동시에 북한 주민도 계속 도와야 한다고 말하고 북한 주민의 복지 개선을 돕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두기드 대변인은 덧붙였습니다.
Gordon Duguid: There are two separate issues here. One is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the other is the welfare or the status of ordinary North Koreans. I think we need to try and continue to help the people of North Korea while we also continue to try and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또 두기드 부대변인은 북한이 미국은 물론 국제사회와 협력하는 수단으로 6자회담이 있으며 북한은 6자회담에서 원하는 사안을 다룰 수 있고 미국과 관련국도 모든 사안을 다룰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 정부는 6자회담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며 북한이 6자회담에 돌아올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6자회담 관련국과 계속 논의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밖에도 국무부의 관리는 북한에 억류된 것으로 알려진 미국 시민권자에 관해 어떤 정보도 알려진 바 없으며 아직 영사적 접근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에서 풀려난 인권운동가 로버트 박 씨의 억류생활에 대해서도 자세히 밝히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