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 정부가 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5개 민간단체의 대북지원을 추가로 허용했습니다. 이번에 승인된 지원 물품은 이르면 이달 중에 북한에 보내질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9일 한국 정부로부터 대북 지원을 승인받은 민간단체는 등대복지회 등 5 곳입니다.
이날 승인받은 물자는 한국 돈으로 총 8억 3,000만 원입니다. 미화로 환산하면 약 80만 달러 상당의 금액입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입니다.
천해성:
오늘 반출 승인된 물자는 영양빵, 두유, 기초의약품, 말라리아 방역용품 등 총 8억 3,000만 원 상당의 물품입니다.
이번에 승인된 지원 물품은 경의선 육로와 인천-남포간 해로를 통해 사리원과 원산, 양강도 등에 전달될 예정입니다.
통일부는 앞으로도 영·유아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인도적인 대북지원은 지원의 필요성, 시급성, 그리고 분배투명성 등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사안별로 승인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의 민간단체 대북 지원은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08년에 승인된 민간단체의 대북 지원액은 총 6,460만 달러였지만, 2009년엔 2,850만 달러로 절반 이상 줄었고, 지난해엔 1,102만 달러가 더 줄어든 1,748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 같은 지원 감소는 남북관계가 악화된 데다 지난해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 등 북한의 무력도발이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연평도 사건 이후 보류됐던 민간단체의 인도적 대북지원도 올해 3월 말이 돼서야 재개됐습니다.
3월 말 이후 지금까지 지원한 규모는 미화로 약 200만 달러어치입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천해성:
이로써 금년도 반출 승인된 취약계층 대상 지원물자는 총 14건, 22억 8,000만 원 상당이 되겠습니다.
그러나 대북 민간단체들은 지원 대상 범위가 취약계층에 한정된 것에 여전히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심지어 일부에선 정부 차원의 대규모 식량 지원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정부의 고위 관계자는 9일 오전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한 당국의 사과가 없는 상황에서 정부 차원의 식량 지원은 아직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최근 설문 조사에서 한국 국민 10명 가운데 7명은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한의 사과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북 식량지원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