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식량난 타개, 한국 정부가 적극 나서야”

0:00 / 0:00

MC:

북한은 해마다 식량 부족으로 주민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데요. 서울에서는 지난 2일부터 북한 식량난 해결을 위한 국제회의가 열리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서울의 노재완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만성적인 식량난을 겪고 있는 북한.

특히, 어린이들의 양양 실조가 심각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남북관계가 나빠지면서 남쪽의 대규모 대북지원도 거의 끊긴 상태입니다.

지금은 어린이와 임산부 등 취약계층에 한해서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북한을 돕고 있습니다.

북한에 식량을 더 지원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목소리는 계속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이 부족합니다.

북한 식량난 해결을 위한 토론회도 잇따라 열리고 있습니다.

서울에서는 ‘2011 대북지원 국제회의’가 열리고 있습니다.

지난 2일 개막한 대북지원 국제회의는 한국의 경기도와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독일의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했습니다.

이번 국제회의에는 김문수 경기지사와 토마스 코즐로프스키 주한 유럽연합대표부 대사 등 대북지원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습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북한 식량난의 심각성을 동감하고, 인도적 지원을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세계식량계획(WFP) 전 사무총장 캐서린 버티니의 말입니다.

버티니

: 북한은 식량 원조가 시급한 상태입니다. 세계식량계획과 비정부기구 단체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한국이 지원을 해주면 좋겠습니다.

이 밖에도 북한 경제 상황에 대한 평가와 대북지원의 새로운 전략 등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올해로 3회째를 맞고 있는 ‘대북지원 국제회의’는 4일까지 계속됩니다.

한편, 지난달 27일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의 발레리 아모스 국장은 긴급 호소문을 발표하고 국제사회가 대북식량 지원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아모스 국장은 당시 호소문에서 “북한 주민 600만 명에 긴급 식량지원이 필요하지만 유엔이 올해 대북지원을 위해 확보한 예산으로는 200만 명 정도밖에 지원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국제사회의 이런 요구 때문인지 한국 정부는 최근 들어 다소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통일부 장관을 교체한 데에 이어 대북지원과 교류도 조금씩 늘려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북 지원단체 관계자들은 한국 정부의 이런 변화는 한계가 있다고 말합니다.

윤유선 씨의 말입니다.

윤유선

: 정부의 5.24 대북제재 조치가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대북 민간지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데요. 그런 점에서 민간단체의 대규모 지원도 지금으로선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대북지원단체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즉 민화협은 지난달 19일 밀가루 300톤을 황해도 사리원시에 전달했습니다.

민화협은 지난 7월 1차분 밀가루 300톤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2천여 톤의 밀가루를 지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