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대북제재에 적극 동참하고 한국과의 협력강화를 다짐했던 앙골라가 여전히 북한과 각종 경제협력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아프리카 앙골라 주재 김현일 북한 대사가 지난 달 말 이틀에 걸쳐 앙골라 동북부에 있는 룬다노르트(Lunda Norte)주(州)를 돌면서 이 지역의 경제적 환경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방문 일정을 모두 마친 김 대사는 지난 달 31일 룬다노르트주의 수도인 둔두(Dundo)시에서 이 지역을 위한 식수와 교육, 그리고 IT, 즉 정보통신 개발사업에 북한 당국이 적극 참여하고 협조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앙골라 통신사인 ANGOP는 2일, 이같은 김 대사의 행보를 전하면서 김 대사가 둔두지역 의료∙보건 및 건설분야에 종사하는 현지 기술자의 능력 향상을 위한 북한당국의 지원도 제안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매체는 또 이미 사업협력을 위해 북한인 29명이 투입돼 일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어네스토 무앙갈라(Ernesto Muangla) 주지사는 앙골라가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한 1975년을 전후해 북한이 앙골라를 지원했던 과거사를 언급하며, 앞으로도 지역의 주요 행사와 문화발전에도 북한이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고 ANGOP는 전했습니다.
그런데, 지난 달 초 앙골라 정부는 자국을 방문한 박승춘 한국 국가보훈처장에게 “앙골라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이행을 위해 북한과의 상업적 거래를 중단하겠다”고 밝힌바 있어, 이번 북한과 앙골라의 경제협력 움직임을 둘러싼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광산지역인 둔두는 전세계 다이아몬드 원석 생산량의 10%를 차지할 만큼 풍부한 다이아몬드를 보유하고 있지만 개발이 더딘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랫동안 앙골라와 동맹관계를 맺어왔던 북한이 이곳에 의료진과 노동자를 파견하고, 또 앙골라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다이아몬드광산 채굴활동에 북한이 직, 간접적으로 관여함으로써 외화를 벌어들일 수 있는 새로운 통로를 만들 수도 있다는 대북 외교전문가의 관측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대북제재 감시의 손길이 제대로 미치지 못하고 있는 사이, 앞에서는 북한과의 절교를 내세우면서 뒤에서는 동맹관계를 지속해 나가는 이러한 행태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원천봉쇄하겠다던 유엔 안보리의 당초 취지를 퇴색시키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