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중앙 은행이 계획경제 하에서 무너진 신용도를 회복하기 위해 일련의 은행 업무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아직 신용도가 검증되지 않아 주민들의 '장롱 속' 현금을 끌어낼 지는 미지수입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중국에 나온 한 북한 소식통은 6일 자유아시아방송에 “국가은행들이 부분적으로 송금과 대출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면서 “특히 공장 기업소간 거래는 행표 결제가 아니라 현금결제로 바뀌었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예를 들어 평양에 있는 한 공장에서 북한 돈 100만원을 청진에 있는 다른 공장으로 보내자면 은행에 가서 100만원을 입금시키고, 청진시의 공장에 통보해주면, 그 공장은 청진 은행에 가서 수수료를 뺀 나머지 돈을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북한에는 개인 돈주가 송금과 대출을 해주는 수준에 머물렀으나, 지금은 국가가 주도하는 금융체계를 가동시켰다는 겁니다.
소식통은 “조선중앙은행과 각 도에 설립된 은행간 호환성이 보장되고 있다”면서 “이전에는 공장 기업소들이 ‘행표’를 은행에서 받아다가 자기네끼리 거래했는데, 지금은 전부 현금으로 거래한다”고 말했습니다.
과거 북한 내각은 각 공장 기업소들에 일년 계획을 할당해주고, 그 계획을 집행하기 위한 예산으로 ‘행표’라는 종이돈을 발급했습니다.
하지만, 계획경제가 붕괴되면서 이러한 ‘행표’는 휴지 장처럼 되었고, 공장 기업소간 거래는 현물 또는 현금거래로 전환되면서 중앙은행은 ‘찬밥’신세가 되었습니다.
함흥시가 고향인 50대 중반의 한 탈북자는 “90년대 중반 성천강구역 중앙은행은 돈이 없어 내내 문이 닫혀 있었고, 직원들은 장마당에 나가 장사하느라 직장을 그만두었다”고 회고했습니다.
김정은 체제 이후 북한에서는 중앙은행은 서서히 제 기능을 찾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북한 매체가 지난해 12월 중순 평양에서 ‘제3차 전국 재정은행 일꾼 대회’가 열린 소식을 전하면서 평양과 각 도에 지방은행이 생겨난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북한은 이번 노동당 제7차대회에서 박봉주 총리를 노동당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승진시키고 곽범기 오수용 노두철 등 경제참모들을 노동당 정치국 위원과 후보위원에 대거 등용하는 등 내각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한 대북전문가는 “현재 대북제재 국면에서 북한이 내부에 도는 외화를 끌어내기 위해 시장금융체제를 도입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장마당에 있는 돈을 끌어내도 대북제재를 상당히 피해갈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잦은 화폐개혁으로 쓴 맛을 본 북한 주민들이 장롱 속에 감추어둔 돈을 순순히 국가은행에 맡길지는 미지수라고 그는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