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농민압박 시래기·고구마 줄기까지 중국에 수출

0:00 / 0:00

앵커 : 대북제재로 외화벌이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북한이 농촌 주민들에도 외화벌이 과제를 부여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 되었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대북제재로 수출길이 막힌 북한이 수출제한 품목이 아닌 농산물 수출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변경도시의 한 소식통은 “주로 잣을 수출하던 조선이 요즘엔 잣 외에도 ‘무우시레기’와 ‘말린 고구마줄기’ 같은 농산물까지 닥치는대로 수출하고 있다”면서 “대북제재로 북한의 외화사정이 얼마나 급해졌는지 최근의 수출품을 보면 잘 알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무우시레기나 말린 고구마줄기는 조선족과 한국사람들이 좋아하는 식품이며 중국사람들은 잘 먹지 않는다”면서 “이런 것들은 굳이 조선에서 사오지 않더라도 중국에도 널려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이런 농산물을 중국사람들이 소비할 것으로 생각되지 않으며 대부분 중국산으로 둔갑하여 한국에 재 수출된다고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같은 북한의 농산물 수출에 대해 평안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무우시레기나 고구마줄기 말린 것들은 당국에서 농촌에 내려 메긴 외화벌이 과제 수행에 따라 채취된 것들”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무우시레기의 재료인 무우청은 배추와 함께 김장을 할 때 모두 활용하는 것이고 고구마 줄기 역시 조선에서도 모두 식품으로 활용되는 것이지만 농민들에 메겨진 외화과제 수행을 위해 국가에 바친 것”이라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북한 산 무우시레기나 말린 고구마 줄기같은 북한 농산물이 남한으로 재수출 될 가능성에 대해 남한의 한 농산물 수입업자는 “가능성은 충분하다”며 “제품을 깨끗하게 가공한데다 가격도 비싸지 않아 남한사람들이 많이 찾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무우시레기나 고구마줄기는 중국이나 한국에도 많지만 이걸 잘 다듬어서 햇볕에 건조시키고 모양을 갖추려면 인건비가 많이 드는 탓에 중국이나 남한에서는 이런 농산물 생산을 포기한 채 값이 싼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남한의 농산물 수입업자는 “오로지 남한에서 전통적으로 인기가 있는 이런 먹거리들을 북한이 농민들의 외화벌이 과제로 떠맡긴다는 것은 남한 소비층을 겨냥한 외화벌이 사업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