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북 노동자에 대한 조치 없어”

0:00 / 0:00

앵커 : 북한 노동자에 대한 신규 사증 발급을 중단하는 등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몽골은 아직 북한 노동자에 대해 이렇다 할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해 유엔 안보리가 새로운 대북제재를 결의하면서 해외 북한 노동자들에 대한 규제도 가해지고 있습니다.

유럽과 중동 지역은 물론 중국에서도 입국 사증(VISA) 발급 제한으로 귀국하는 북한 노동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와 달리 몽골에서는 아직 특별한 조치가 내려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 대북 소식통은 “유엔의 연이은 대북제재에도 북한 노동자에 대한 몽골 당국의 조치는 아직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 소식통은 이어 “몽골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 북핵 문제에 크게 관심이 없으며 남북 사이에서도 어느 한쪽을 일방적으로 지지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대북 소식통은 “올해 4월경 50세 이상 북한 노동자들이 한꺼번에 귀국길에 올랐는데 이는 일감이 부족해 자국으로 돌아간 것이지 몽골 당국의 조치로 이뤄진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 “북한 노동자들이 힘들고 고돼도 몽골 생활에 만족해한다”며 “어떻게 해서라도 몽골에 남아 있으려고 노력한다”고 말했습니다.

“여전히 북한에 상납하는 돈이 부담되지만 정해진 일을 한 뒤에는 외부에서 자기 돈벌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 나름의 수입이 되고 있다”고 이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몽골은 2008년부터 북한 노동자를 대규모로 고용했으며 2013년에는 그 수가 최고 5천여 명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2014년부터 몽골에 불어 닥친 경제 불황으로 북한 노동자들의 수는 해마다 줄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몽골의 한 건설 관계자는 “현재 몽골 내 북한 노동자 수는 700여 명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몽골 당국이 유엔의 대북제재에 동참하지 않는다면 북한 노동자들의 수는 700명 안팎에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