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지금까지 북한산 쌀은 색깔이 누렇고 뉘가 많은데다 모래도 많이 섞여 있어 장마당에서 싼값에 거래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장마당에서 판매되는 북한 쌀이 과거와 달리 상당히 고급화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한 장마당에서 판매되고 있는 북한 쌀이 과거와 달리 깨끗하고 고급스러운 백미의 본 모습을 찾아가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지금까지 북한 쌀은 도정과정에서 손실을 줄이기 위해 알곡의 겉껍질만 살짝 벗기는 바람에 색깔이 누런데다 껍질이 채 벗겨지지 않은 뉘가 많았습니다. 또 도정기술 부족으로 잔 돌이나 불순물이 걸러지지 않은 데다 쌀 장사꾼들이 무게를 부풀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모래를 집어넣는다는 게 지금까지 북한 쌀에 대한 평가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북한 대도시 장마당에서 판매되고 있는 북한 쌀을 보면 이런 평가는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는 전언입니다.
평안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 같은 소식을 전하며 “요즘 장마당에서 판매되는 쌀의 질이 좋아진 것은 시장 상인들의 판매경쟁이 치열해진 탓”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의 질 나쁜 북한 쌀로는 돌도 없고 하얀 백미 위주인 중국 쌀과의 판매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는 애깁니다.
이 소식통은 “특히 쌀을 많이 소비하는 북한 특권층이나 부유층이 질 나쁜 북한 쌀을 외면하고 있어 북한 쌀은 대도시 장마당에서 설 자리를 잃어버렸다”고 주장했습니다.
중국 단둥의 한 대북무역상은 “신의주와 단둥을 드나드는 북한 트럭 운전사들도 북한 쌀에는 돌이 너무 많아 먹기 어렵다고 하면서 자신들이 먹을 쌀을 중국에서 들여가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북한 쌀이 이처럼 고급화되는 과정에서 (북한)당국의 역할은 별로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최근 중국에 나온 함경남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쌀 장사꾼들의 판매경쟁이 치열해지다 보니 상인들이 자체적으로 선별기와 소규모 도정기를 준비해 돌을 골라내고 누런 색깔의 8분도 쌀을 한번 더 도정해 하얀 쌀을 만들어 장마당에 내놓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국가에서 주민들에게 배급하는 잡곡이 섞인 쌀과는 품질이 전혀 다른 고급 쌀을 자체적으로 만들어 팔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주민 소식통은 그러나 “아직도 대도시 장마당을 제외한 지방 도시나 농촌 등지에서 서민들이 접하는 쌀은 여전히 돌과 뉘가 많은 누런 빛깔의 쌀이 대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대도시 장마당에서 판매되고 있는 고품질의 쌀은 북한 고소득층을 겨냥한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최근 신의주의 쌀 가격을 보면 1kg당 6,000원으로 중국 인민폐로는 4.5위안 정도이고 중국 단둥의 중간등급 쌀값이 kg당 5.5위안 정도여서 오히려 단둥보다 신의주 쌀값이 눅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