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농업협력 ‘노동자 인권’ 걸림돌”

0:00 / 0:00

앵커 : 북한이 러시아 극동 하바롭스크에 고위급 농업대표단을 보내 러시아와 농업협력 타당성 조사에 나섰습니다. 북한이 지리적으로 가까운 러시아 극동지역과 농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있지만 전망은 그리 밝지만은 않다는 지적입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러시아 극동 하바롭스크에 1만 헥타르 이상의 대규모 농지를 빌려 농업협력에 나서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14일 하바롭스크주에 따르면 북한 농업부 고명희 부부장이 이끄는 농업대표단이 이날 하바롭스크를 방문해 알렉산드르 야츠 부지사 등과 만나 이같이 제안했습니다.

고 부부장 일행은 이 자리에서 러시아 측이 농지를 빌려주면 북한이 노동력과 장비 등을 동원해 채소와 곡물 재배는 물론 목축에도 나서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측 농업 전문가들은 면담에 배석한 러시아 측 농업 전문가들에게 이 지역의 기후와 토양 등에 관해 질문하는 등 농업 협력에 깊은 관심을 표명했습니다.

야츠 부지사는 이같은 북한의 제안에 대해 농업 분야가 러시아 극동지역에서 가장 유망한 투자 분야라면서 긍정적으로 답했습니다.

북한 대표단은 오는 17일까지 하바롭스크주에 머물면서 이 지역의 기후조건과 토질상태, 농작물 재배와 수확 방식 그리고 가격 등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이 지역의 농업 관련 기업은 물론 식품 가공 기업도 방문할 예정입니다.

북한은 이미 지난 달 리수용 외무상을 극동지역에 보내 하바롭스크는 물론 아무르주, 사할린주, 연해주 등과 농업, 수산업, 목축업 등을 중심으로 한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양국 간 농업분야 협력이 결실을 거두기 위해선 장애물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북한 문제 전문가로 러시아 극동지역 현지를 직접 둘러보기도 했던 마키노 요시히로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원은 RFA 자유아시아 방송에 북러 간 농업협력이 이미 오래전부터 추진돼왔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마키노 요시히로 연구원 : 북한과 러시아의 농업협력은 2010년 김정일의 러시아 방문때부터 계속 나왔던 얘기입니다. 특히 러시아 극동지역 아무르주나 하바롭스크주의 정부 관계자들은 중국인 대신 북한 노동자들을 고용하려는 의사를 밝힌 바 있습니다.

극동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는 걸 우려하는 러시아 정부가 북한과 협력을 선호하고 있지만 북한이 약속한 투자를 제대로 이행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겁니다.

마키노 연구원은 특히 북한 노동자를 러시아 극동지역에 파견하는 형태의 농업협력이 결국 북한 노동자들에 대한 인권유린 논란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러시아로선 부담스러울 거라고 덧붙였습니다.

마키노 요시히로 연구원: 최근에 북한 인권 문제가 부각되고 있는데요 국제비정부기구를 중심으로 북한의 노동자 해외파견에 대해서도 (인권유린 등) 문제제기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로서도 국제사회의 따가운 시선을 외면할 수만은 없을 거란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