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경찰 “허위 서류 이용 북한선박 조사 중”

0:00 / 0:00

ANC: 유엔 대북제재 이행을 위해 북한 선박에 선적을 부여했던 국가들의 취소가 잇따르자 북한 당국은 위조서류를 이용해 선박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홍알벗 기자의 보도입니다.

전체 인구가 90만명 밖에 안 되는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피지(Fiji).

피지 경찰이 최근 북한 선박을 상대로 수사에 나섰습니다.

아나 나이소로(Ana Naisoro) 피지경찰 대변인은 이달 초, 불법으로 피지국기를 달고 운항한 혐의로 북한 선박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지언론인 파푸아 뉴기니 투데이(Papua New Guinea Today)는 나이소로 대변인이 더 이상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지만, 북한선박의 불법사실이 드러나면 강력히 처벌할 방침이라고 전했습니다.

10일 북한전문매체인 NK뉴스에 따르면 피지국기를 달고 운항한 북한 선박은 모두 20여척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피지 정부측은 북한 선박에 피지선적을 허가해준 적이 없다고 밝혀 북한측이 허위로 서류를 작성해 불법으로 피지 국기를 달고 운항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피지 국기를 달고 운항하는 북한 선박은 지난 1월과 2월 사이에 크게 늘었다가 3월 말이 되면서 다소 줄어든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이렇게 북한 선박이 해당 국가의 허가를 받지 않고 운항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는 더 있습니다.

오랫동안 북한 선박에 선적을 줘오던 아프리카 탄자니아는 유엔 대북제재 시행 이후 지난 해에만 64척이 넘는 북한 선박에 대해 선적부여를 취소하고 더 이상 신규선적부여는 없다고 밝히는 등 제재를 잘 이행하는 것처럼 보였으나, 최근까지도 탄자니아 선적으로 운항하는 북한 선박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결국 외국선박에 자국의 선적을 부여하는 탄자니아 잔지바르 해사국이 자국 선박의 동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거나, 또는 이들 북한 선박이 가짜 서류를 갖고 전세계를 돌아 다니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영태 북한미래포럼 대표입니다.

정영태 북한미래포럼 대표 : 이런 국가들은 지금은 바뀐 측면이 있지만 전통적으로 사회주의, 공산주의 국가로서, 그리고 굉장히 급진적인 노선을 이끌어 왔고 이것이 북한과의 친밀도를 높인 그런 국가로서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까지 이런 국가들과는 어느 정도 외교관계, 특수한 외교관계를 가지면서 그들 국가들의 이름을 사용을 한다든가 이런 식으로 위장을 하는 그런 모습을 모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몽골은 유엔의 대북제재결의 2270과 2321호 이행 이후 지금까지 모두 17척의 북한 선박에 부여했던 몽골 선적을 취소했다고 이행보고서를 통해 밝혔습니다.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강력한 대북제재로 북한의 숨통을 조이고 있는 가운데 북한 당국은 외화벌이를 위한 궁여지책으로 선박운영에 위조서류까지 이용하고 있다는 관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