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에도 중국인 북한 관광 여전

중국인 관광객들이 나진항에 정박한 유람선에서 내리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나진항에 정박한 유람선에서 내리고 있다. (ASSOCIATED PRESS)

강력한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인들의 북한 관광은 계속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20일, 지난 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기 직전 중국 정부가 비공식적으로 중국인의 북한 관광을 금지시켰지만, 여전히 중국인들이 중국 단둥을 통해 북한을 방문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매체는 중국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관광회사들은 정부의 북한방문 제재지침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으며, 이 같은 중국 정부의 지침에 불만을 갖고 있는 관광회사들은 정부의 눈을 피해 계속 관광객들을 북한으로 보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중국 관광객의 북한 방문은 유엔의 대북제재 목록에는 올라 있지 않지만, 지난 11월 도널드 트럼프의 첫 중국 방문 당시 단둥시 관광청은 중국인의 북한방문을 금지시킨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북한 관광의 요충지가 되어 버린 단둥시에는 수많은 여행사가 들어서게 되었고, 중국 정부의 지시도 무시하기 일쑤라는 지적입니다.

북한은 관광수입으로 해마다 4천400만 달러의 수입을 거둬들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에서 북한 경제 공작원으로 활동한 59살 최찬한 씨가 호주에서 불법 물품을 해외로 빼돌리고 대량 살상 무기 공급을 모의했다는 혐의로 시드니에서 체포됐다고 호주연방경찰이 발표했습니다.

경찰은 최 씨가 호주 귀화 시민이며 북한 무기 프로그램의 중개인으로 활동하면서 해외기관에 북한 탄도미사일 기술을 판매해 북한 정권에 수익을 가져다 주려 했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