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최근 북한 당국이 국가기관에 의한 무역을 제외한 주민들의 개인무역을 차단하는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한의 민간 무역업자들과 주로 거래를 하는 중국 변경도시의 소규모 개인 무역업자들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북한당국이 국가기관이 아닌 개인단위의 민간무역을 단속하고 나섰기 때문입니다.
중국 단둥의 대북 무역상 왕 모씨는 “북한 당국이 최근 국가기관인 무역총회사로부터 개인들이 와끄(쿼터)를 빌려 편법적으로 무역거래를 하는 행위를 일제단속하고 있다” 면서 “개인들이 국가무역을 가장해 행하는 편법무역 색출에 세관과 사법기관을 총동원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왕 씨는 “북한의 이 같은 조치로 인해 북한 민간 무역업자들과 거래를 해온 중국 변경도시의 소규모 개인 무역업자들이 타격을 입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왕 씨는 또 “북한 개인무역업자들과 중국상인들 사이에 오가는 무역거래 대금 전달을 막기 위해 북한 세관원들이 북한과 중국을 오가는 화물트럭 운전사들의 소지품과 차량을 샅샅이 조사하고 있으며 위안화나 달러가 나오면 가차없이 압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중국과 북한을 자주 드나드는 화교들에 대한 감시가 매우 엄중해졌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 사실확인 요청을 받은 또 다른 무역상 주 모 씨는 “북한의 개인 무역상들이 무역결제대금 대신 중국으로 보내던 정광(광물자원)도 당국이 반출을 일체 금지하는 바람에 정광을 싣고 오던 북한의 화물트럭들이 뚝 끊겼다”고 말했습니다.
주 씨는 이어서 “개인 무역거래가 끊기는 것도 문제지만 이미 외상으로 나간 물건의 대금을 회수할 방법이 없어 큰 일”이라면서 “도강 밀수꾼을 통해 전달받을 수도 있겠지만 북, 중 양쪽에서 밀수단속을 대폭 강화하고 있어 이마저도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 당국이 그 어느 때보다 강도 높은 개인무역 차단 조치에 나선 것에 대해 중국 내 대북 소식통들은 북한 정권의 재정이 그만큼 어렵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민간들의 개인무역은 편법, 탈법적인 거래인데다 수익금이 은행에 들어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국가수입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개인무역 거래로 인해 국가에서 운영하는 외화상점과 국영상점들의 영업에 지장을 초래해 수입감소로 이어진다는 얘깁니다.
북한당국의 개인무역 단속이 지속될 경우 이들로부터 물건을 공급받던 장마당 소상인들이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며 외화상점이나 국영상점의 상권독식 현상이 심화되어 북한 의 물가가 크게 오를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