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무역일꾼들 대북제재로 곤경에 처해

0:00 / 0:00

앵커 : 중국에 진출한 북한 무역일꾼들이 실적 저조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정부의 대북제재가 본격화 되면서 중국기업들과 북한과의 거래가 급감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관련 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료녕성 단둥시의 한 조선족 소식통은 18일 “최근 중국에 진출한 조선(북한) 외화벌이회사들이 어려운 처지에 놓여있다”면서 “중국당국의 대북제재로 인해 중국측 대방들이 이미 약속한 거래까지 일방적으로 취소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단둥은 대표적인 북-중무역 중심지여서 가장 많은 북한무역업체가 몰려있는 곳”이라면서 "때문에 중국의 대조선 정책변화를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지역“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최근들어 중국회사와 북한 대방과의 거래가 눈에 띠게 줄어들었다”면서 “중앙당이나 군부 소속의 대규모 외화벌이 일꾼들은 그래도 형편이 좀 낫지만 개별 기관이나 지방 당 소속 무역회사 간부들은 요즘 밥 값도 없어 중국대방들과 상담도 못 할 지경”이라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 “오랫동안 가까이 지내던 조선의 무역간부가 요즘은 만남 자체를 피하고 있다”며 “기계부속 수입을 위해 중국대방과 계약까지 체결했는데 중국측에서 일방적으로 거래를 취소해 곤경에 처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 료녕성 단둥시의 또 다른 소식통은 같은 날 “중국에 진출한 조선 무역일꾼들은 활발한 거래를 위해 대방들과 술자리를 자주 마련해왔다”며 “외화과제를 원만히 수행하려면 중국대방과 인간적으로 가까워져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요즘 조-중 세관을 통과하는 차량들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어 조선 무역일꾼들의 어려운 처지를 실감할 수 있다”면서 “하지만 조-중 무역이 완전 중단된 것은 아니고 민생목적에 해당하는 식품, 농산품, 생필품 거래는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소규모 생필품 무역 마저도 중앙당 이나 군부 소속의 외화벌이업체들이 독점하고 있어 개별기관의 무역일꾼들은 생계비조차 마련할 길이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