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그동안 중국의 무역회사들에 팩시밀리를 이용한 문서 송부만을 고집하던 북한이 최근에는 전자우편을 이용한 문서접수도 일부 회사에 한해서 허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과 10년 넘게 무역을 하고 있다는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지금까지 조선과 문건을 주고 받을 때는 반드시 팩시밀리로만 주고 받을 수 있었는데 최근에는 전자우편을 이용해서 문건을 주고받는 게 가능해졌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전자우편으로 문건을 주고 받으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팩시밀리 사용에 따른 국제전화 요금도 아낄 수 있는데 무슨 이유에선지 지금까지 조선 측에서는 팩시밀리를 통한 문서수발을 고집해 왔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조선 대방과 주고받는 문건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word)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하며 한국에서 사용하는 아래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한 문건은 안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렇지만 외부 세계의 누구나 북한 내부에 전자우편을 보낼 수 있는지는 아직 확인하지 못했지만 일부 중국 대방 외에는 어려울 것이라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중국의 또 다른 대북 소식통은 “조선과 전자우편을 이용해서 소통을 하려면 조선 당국의 엄격한 심사를 통과한 기관이나 회사에 한정된다”면서 “심사를 통과한 전자우편 주소는 평양 통신센터에 별도로 등록이 되어 그 내용이 항상 감시받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평양)통신센터에 등록되지 않은 전자우편 주소로는 송신과 수신이 아예 불가능하다”면서 “하지만 이 같은 내용은 조선 대방으로부터 전해들은 것으로 북한 당국에 직접 사실여부를 확인할 길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북한의 무역회사 중에서 해외 대방들과 직접 전자우편으로 문건을 보내고 수신할 수 있는 회사는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의 회사들은 평양 통신센터에서 문건을 수신한 다음 해당 회사에 전해주고 문건을 보낼 때도 통신센터를 찾아가 송신을 의뢰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평양)통신센터를 거쳐 문건을 전달받거나 보낼 때 상당액의 수수료를 물어야 하는데 북한 무역 회사들은 이런 수수료들을 담당자 개인에 전가시키는 경우가 많아 실무직원들의 불만이 크다고 소식통은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