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해외 근로자들을 중국에 파견하기 위해 '무범죄 확인서'라는 보증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당국도 북한 노동자들이 많이 밀려들 것을 고려해 이 같은 서류를 요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중국에 파견되는 노동자들이 과거 범죄를 저지른 전력이 없다고 증명하는 확인서를 국방위원회 산하 인민보안부 명의로 발급해 중국 당국에 제출하는 것으로 자유아시아방송 취재 결과 나타났습니다.
북한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중국의 한 소식통은 "중국이 북한 근로자들을 받아들일 때 범죄전력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담보서 같은걸 북한정부로부터 받고 있다"며 관련 자료 사본을 23일 제공했습니다.
소식통이 전달한 '무범죄확인서'에 적힌 인물은 1991년 생인 20대 초반의 여성이었으며, 거주지는 평양시로, 출신성분이 좋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소식통은 "무범죄 확인서 제출 조치는 2012년부터 북한 노동자들이 중국 동북지방으로 대거 일하러 나올 때 취해진 걸로 안다"며, "중국은 무범죄 사실이 확인된 노동자에 한해서만 취업비자를 발급해주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2012년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다음 북한은 외화를 벌기 위해 20대 초반의 여성근로자들을 료녕성 단둥시와 길림성 도문 지방에 약 만 명 가까이 파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노동자들은 중국 의류공장과 가죽가공 공장 등에서 집단 합숙하면서 일한 것으로 알려집니다.
소식통은 "김정일이 생존해 있을 때는 자원수출에 매달렸는데, 김정은은 노동력을 수출해 돈을 버는 방식으로 변했다"고 전했습니다.
중국도 북한이 대규모 인력수출을 제안하자, 자국 내 치안을 위해 전과사실이 없는 노동자들을 받겠다고 북한 측에 조건을 제시했다는 겁니다.
하지만, 최근 해외 근로자 모집에 애를 먹고 있는 북한이 이 같은 문서를 형식상으로 갖출 가능성도 있습니다.
평안북도 국경지방에 사는 한 주민은 "예전엔 외국 나가는 게 꿈이었는데, 지금은 별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그 이유를 임금체불로 꼽았습니다.
이 주민은 "처녀들은 시집갈 준비를 해온다면서 중국에 나가려고 뇌물까지 바쳤지만, 먼저 나갔던 여성들이 돈을 벌지 못하자 지금은 가겠다는 사람들이 적어졌다"고 말했습니다.
이 주민은 "외화벌이 회사에서는 한 푼이라도 벌기 위해 사람들을 더 내보내고 싶어 하는 데, 보안당국이 자격심사를 까다롭게 봐서 사실상 외국에 나가겠다는 사람을 찾기도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