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무역업자 대금회수에 불안감

0:00 / 0:00

앵커 : 북한과 무역 거래를 하고 있는 중국 무역업자들이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로 인해 수출 대금회수에 지장이 있을까 크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과 거래하고 있는 중국 변경지역 무역 업자들이 유엔 안보리제재와 관련, 앞으로 전개될 무역 환경의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한편 외상으로 보낸 물건의 대금을 회수하지 못할까 봐 좌불안석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0년 넘게 북한과 무역을 해왔다는 단둥의 한 무역 업자는 “중국 변경도시에서 이뤄지는 북-중 무역거래는 주로 북한에 물건을 먼저 보내고 대금은 나중에 정산하는 외상거래가 대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물건을 받은 북한의 대방이 대금을 결제해주지 않으면 고스란히 떼일 수 밖에 없는 외상거래가 성행하게 된 것은 중국 무역업체 간의 과당 경쟁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또 “유엔 제재를 비롯해 북-중 관계가 시끄러워질 때마다 이미 보낸 물건값을 받지 못 할까봐 밤잠을 설치게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요즘 같이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는 북한 대방이 물건을 주문할 경우 물건을 보내기도 불안하고 그렇다고 보내지 않을 경우 이미 보낸 물건값을 떼일 수도 있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눈치만 보는 실정”이라고 하소연했습니다.

중국 단둥의 또 다른 대북 무역업자도 “북한과 무역을 하는 대다수의 무역 업자들이 같은 고민을 할 수밖에 없고 문제의 원인이 과당 경쟁이란 것도 잘 알면서도 이런 관행이 쉽게 고쳐지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중국의 현지 소식통들은 단둥과 신의주를 오가는 화물차량의 숫자는 유엔 안보리 제재가 발표된 이후에도 이전과 큰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무역업자들은 “해관(세관) 검사가 까다로워질 것이라고 하지만 유엔 제재가 있던 없던 해관 검사가 강화되었다 느슨해졌다 하는 것은 늘상 있어 왔던 일”이라며 “북한으로 나가는 물건을 차량에 실을 때 일일이 검사를 한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고 지적했습니다.

해관의 검사요원 숫자도 충분하지 않은데다 차량 한 대에 물건을 싣는 작업이 두세 시간 걸리기 때문에 하루에 백 대가 넘는 화물 차량을 모두 이 잡듯 뒤지기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