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산림설계사업소'의 권한을 대폭 강화하고 경제적 효과가 있는 산림화를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식수 현장에선 필요한 묘목이 준비되지 않아 나무심기 계획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고 소식통들이 전해왔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산림이 황폐화된 것을 탓하지만 말고 오히려 이를 기회로 산림의 수종을 계획적으로, 경제적 이익에 맞게 조성해야 한다” 최근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온 나라의 수림화, 산림화’ 대책과 관련해 지시한 내용입니다.
지난해부터 ‘전국의 원림화, 수림화, 산림화’라는 구호를 내놓은 북한은 나무심기를 경제발전의 주요 과제로 내세우고 올해 식수사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전국의 양묘장과 종묘장도 그 규모를 크게 확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각 도 산림감독기관들에 많은 권한을 부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기존에는 그 존재조차 잘 알려지지 않았던 도 산림설계사업소의 인원을 대폭 늘리고 권력기관 수준으로 그 권한을 높여주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도 산림설계사업소의 인기가 웬만한 권력기관들과 견줄 정도로 높아졌다”며 “지난해까지 아무런 대접도 못 받던 산림설계 전문가들은 도당위원회 간부비준 대상이 됐다”고 8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전국의 산림화’라는 구호 아래 산림감독기관들의 감독통제 권한이 상당히 높아졌는데 그 중에서도 산림설계사업소에는 산림감독기관들과 양묘장, 종묘장들까지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보탰다고 소식통은 강조했습니다.
김정은 정권이 이렇게 산림설계사업소의 권한을 높여 준 데 대해 소식통은 “산림설계뿐만 아니라 설계에 따라 토지를 수용하고, 거기에 심을 수종까지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이 필요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기존의 식수사업은 주먹구구식으로 오직 나무만 심는 것으로 끝났는데 지금은 모든 산의 토질과 기후에 맞춰 수종을 엄격히 구분해서 심고있다”고 6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나 지역별 토질과 기후에 맞는 수종이 미처 준비되지 않아 나무심기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산림설계사업소의 요구에 맞는 수많은 수종의 묘목들을 다 준비하자면 적어도 3년 이상 걸릴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소식통들은 “기왕이면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산림설계사업소의 요구대로 산림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성해야 한다”며 “각 지역 산에 맞는 묘목조차 아직 개발하지 못했는데 무조건 나무를 심으라고 들볶는 ‘산림조성위원회’에 대한 비난이 거세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