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북 노동자 건조 선박 수주 안해”

폴란드의 한 조선소에서 노동자들이 일을 하고 있다.
폴란드의 한 조선소에서 노동자들이 일을 하고 있다. (AFP PHOTO)

0:00 / 0:00

앵커 : 노르웨이 선박 회사의 수주를 맡았던 폴란드 즉 뽈스까 북부의 조선소가 8월부터 북한 노동자를 고용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노르웨이의 기술산업 관련 주간 잡지 ‘테크니스크 우께블라드(Teknisk Ukeblad)’는 폴란드의 북부 그디니아의 크리스트(Crist) 조선소가 북한 노동자를 더 이상 고용하지 않기로 했다고 최근 보도했습니다.

이 잡지사의 라스 타랄슨(Lars Taraldsen) 기자는 2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지난 5월 공개된 독일 언론(Vice Germany)의 폴란드 조선소 내 북한 노동자의 인권 유린 실태에 관한 탐사보도 동영상(Cash for Kim)에 등장한 노르웨이 선박에 주목했다고 밝혔습니다.

타랄슨 기자 : 제가 8월 중순에 크리스트 조선소에 직접 찾아 가 담당자를 만났습니다. 당시 북한 노동들이 8월 1일 이후에 떠나고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 동영상은 2014년 8월 29일 폴란드 북부 그디니아의 크리스트 조선소에서 작업복에 불이 붙은 북한 용접공이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사고 다음날 피부가 95퍼센트이상 불에 탄 상태에서 사망한 사고를 계기로 폴란드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의 인권 유린 실태를 고발했습니다. 사망한 북한노동자 전경수 씨가 무엇보다도 산소가 부족하고 캄캄한 작업장에서 방화복도 입지 않은 채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도와줄 상사나 동료 등이 주변에 아무도 없었던 점 등은 유럽국가인 폴란드에서 조차 북한 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이 열악한 것을 알 수 있었다는 지적입니다.

타랄슨 기자는 이후 북한 노동자 사망사건에 대한 폴란드노동감독관리청(Polish Labor Inspectorate)의 사건 경위 조사 자료를 입수했고 크리스트 조선소 고객의 상당수가 노르웨이 회사라는 걸 밝혀냈습니다.

타랄슨 기자 : 제가 크리스트에 노예 노동을 하는 북한 노동자들이 이 조선소에서 일하고 있는 것을 아느냐고 물었습니다. 그때까지 모르던 크리스트는 아르멕스와 회의를 갖고 간과할 수 없다고 항의했습니다.

폴란드인을 대표로 내세운 아르멕스(Armex)라는 중개업체는 북한 정권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능라도무역총회사와 계약을 맺고 십 수년간 크리스트 등 폴란드의 조선소에 북한 노동자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능라도무역총회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가 최근 보고서에서 북한 노동당 소유로 이집트에 스커드 미사일 부품을 불법 수송하는 데 연루된 것으로 보고한 바 있는 회사입니다.

크리스트는 현재 진행 중인 건조작업 중 10건이 북한과 관련된 아르멕스와의 계약이고 그 가운데 9건이 노르웨이 선박회사로부터 수주 받은 것입니다. 클레벤(Kleven)과 울스타인(Ulstein) 등 노르웨이 선박회사는 대량살상무기개발과 해외 파견 노동자의 강제노역으로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는 북한과의 거래가 있는 한 크리스트 조선사에 선박 수주를 하지 않겠다고 항의했습니다.

따라서 크리스트는 중요 고객인 노르웨이 선박회사들의 요구를 무시할 수 없어 아르멕스와의 계약관계를 유지하지 않기로 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