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선 경제특구에도 택시 운행

0:00 / 0:00

앵커 : 북한의 라선 경제특구에서도 택시가 운행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라선특구의 택시영업은 올 봄부터 시작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라선 경제특구에 올 봄부터 택시가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달 8일부터 12일까지 열렸던 제6차 라선국제상품전시회에 참가했던 중국의 한 사업가는 “라선지구에서 택시가 운행되고 있었다”면서 “라선지구의 택시영업은 이미 지난 봄부터 시작되었다는 현지 주민들의 설명을 들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얼마 전부터 운행되기 시작한 신의주 택시보다 라선지구의 택시운행이 먼저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서 북한에서 현재 택시가 운행되는 곳은 평양을 비롯해 라선시와 신의주 등 3곳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소식통은 “라선에서 운행되는 택시는 표면적으로는 라선시 인민위원회가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중국인 사업가의 투자를 받아 설립한 회사가 운영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라선에서 운행되는 택시의 차종은 평양과 신의주에서 운행되는 비야디(BYD)가 아닌 체리(Chery, E3 모델)라며 차량 색깔은 아무런 무늬가 없는 순 백색”이라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택시요금은 라진 시내에서는 인민폐 10위안이지만 시내를 벗어나 변두리 지역으로 나가려면 20위안을 내야 한다”며 “라진에서 선봉까지는 약 20km 정도니까 40위안 안팎으로 추산되며 라진에서 원정리 세관까지의 요금은 100위안 정도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라선지구를 방문하고 돌아왔다는 또 다른 중국인 사업가는 “라선 택시에는 주행거리에 따라 요금을 산정하는 메타기가 없어 운전기사가 거리에 따라 임의로 요금을 부른다”며 “외국인이라고 해서 터무니 없는 바가지 요금을 요구하는 것 같지는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은 대부분 외국인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중국인이 절대다수를 차지한다”며 “그렇지만 간간이 돈많은 현지인들도 택시를 이용하는 것을 보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또 “택시 요금은 내국인이건 외국인이건 무조건 외화로 지불해야 하는데 주로 중국 인민폐가 통용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