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당국이 오는 11월 1일부터 국가배급을 중단키로 했다는 사실이 주민들 속에 확산되면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배급이 끊긴다는 사실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상당수 주민들은 오히려 환영하는 분위기라고 소식통들이 전해왔습니다.
서울에서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당국이 ‘새경제관리조치’의 일환으로 배급제를 중단키로 했다는 사실이 주민들 속에 확산되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애초에 배급을 받아보지 못한 노동자들은 일체의 국가배급이 중단된다는 소문에 크게 환영하고 있지만 그동안 지속적으로 배급을 받아오던 간부계층은 당혹감을 금치 못하고 있다고 여러 소식통들이 주장했습니다.
최근 연락이 닿은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11월 1일부터 군, 사법기관, 일반 행정기관 사무원(공무원)들의 배급이 일체 중단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한 소식이 알려지면서 군관(장교)들과 보위원, 보안원(경찰)들과 그 가족들은 벌써부터 근심이 대단하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새경제관리체계’가 시행되면서 배급제가 중단된다는 소식은 이미 전부터 잘 알려졌지만 구체적인 날짜까지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보위부, 보안부 가족들을 통해 이런 사실이 먼저 알려지기 시작했다”고 언급했습니다.
함경북도의 보건부문에서 일하는 또 다른 주민은 “‘새경제관리체계’가 공식 시행되면 3급(중간급)의사의 월급이 15만원으로 오른다”며 “대신 국가상점들에서 쌀 1kg에 천원으로 팔게 되며 장마당의 식량가격도 천원이상 오르지 못하도록 조절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당국의 그 같은 시도가 성공할 것 같으냐?”는 질문에 그는 “성공가능성이 그리 높은 것 같지는 않다”며 “대부분의 주민들이 ‘새경제관리체계’에 대해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양강도의 소식통도 “11월 1일이면 가을걷이도 끝나고 햅쌀이 장마당에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그때부터 배급제를 중단한다는 의미”라며 “이제는 어떤 사람들이든 생활비(월급)로 식량을 사서 먹으라는 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생활비로 식량을 사 먹도록 하는 조치를 놓고 “수요를 충족시킬만한 쌀이 없기 때문에 생활비를 높이면 쌀값도 그만큼 높아질 것”이라며 우려를 표하는 반면 “국가가 그만한 것도 타산하지 못했겠냐?”며 막연한 기대를 내비치는 주민들도 적지 않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그런가하면 “배급제 폐지에 대비해 국가상점 망들에서 팔 수 있는 식량을 중국에서 대량으로 들여 올 것이라는 말들이 크게 돌고 있다”며 “어떤 방법을 동원하든 식량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새경제관리체계’가 결코 성공할 수 없다는데 대해 누구나 공감하고 있다”고 그는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