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지역별 식량배급 차별 ‘심각’

0:00 / 0:00

북한의 식량난 해결을 위해 공공배급체계의 개혁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국제 구호활동을 평가하는 유럽의 구호기구 연합체가 주장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럽의 3개 국제구호단체로 구성된 '재난평가프로젝트' (The Assessment Capacities Project)는 북한의 재난 현황과 구호단체의 지원 노력을 평가한 '보충 자료 분석' 보고서를 지난 19일 공개하고 지역과 계층에 따라 식량 배급을 차별하는 북한의 공공배급체계를 대북 식량지원의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지적했습니다.

재난평가프로젝트의 보고서는 구호단체의 식량지원이 북한 정권을 통해서 주민에 전달되기 때문에 분배 감시의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인권 탄압의 피해자나 동북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이 공공배급체계를 통한 식량 배급에서 차별을 당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자강도와 량강도, 함경남북도, 강원도 주민 약 680만 명 중 절반에 육박하는 약300만 명이 굶주릴 위기에 몰렸다면서 수도인 평양과 가까운 평안남북도와 황해남북도의 주민과 비교하면 동북 지역 주민의 굶주리는 비율이 두 배 이상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 정권의 비협조도 구호단체의 활동을 어렵게 만든다고 재난평가프로젝트의 수잔 어브 연구원이 2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수잔 어브

: “북한의 식량난이 심각하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얼마나 심각하고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 지와 관련한 자료가 부족합니다.”

어브 연구원은 식량부족이나 재해와 관련한 자료와 정보가 부족해서 구호기구들이 즉각적으로 대응하고 적절하게 지원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어브 연구원은 대북 구호단체의 현장 요원들에게 해당 지역의 재난과 관련한 정확한 정보를 주기 위해서 북한의 식량난과 관련한 ‘보충 자료 분석’ 보고서를 만들었다면서 북한에서 활동하는 현장 요원들의 반응과 경험을 포함한 추가 보고서를 작성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재난평가프로젝트는 유럽의 구호단체인 국제헬프에이지, 의료구호기구인 멀린, 노르웨이난민위원회가 구호활동을 지원하는 정보를 분석하고 제공하기 위해 공동으로 설립한 비정부 연구단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