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이 내년부터 일반 주민에 대한 식량배급을 실시할 것이라며 주민들에게 선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주장하는 강성대국 원년에는 식량배급을 정상적으로 실시하겠다는 것인데 주민들은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전합니다.
내년에 강성대국의 문을 연다고 호언해온 북한당국이 최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식량배급을 재개할 것이라는 선전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내년에도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부족 사태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북한당국의 주장은 주민들을 달래기 위한 공연한 선전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방문에 나선 평양 주민 조 모 씨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교양시간에 내년부터 식량배급을 정상적으로 실시한다고 선전하고 있다”면서 “인민반장들은 식량 배급장부를 점검한다며 각 세대별 인원을 확인하는 등 요란스럽다”고 자유 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조 씨는 이 같은 선전에 대해 대부분의 주민들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이나 남조선에서 통 큰 원조를 해주면 모를까 큰물피해로 농사가 잘 안되었는데 무엇으로 배급을 한다는 것이냐”면서 불신감을 내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평안북도 신의주 주민 류 모씨도 “주민교양시간에 내년부터는 식량공급을 정상적으로 할 것으로 선전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주민들은 내년이라고 무슨 뾰족한 수가 있겠느냐면서 믿으려 들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당국이 연말을 앞두고 이 같은 선전을 되풀이 하는 것은 만성적인 식량난으로 들끓는 주민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시도라는 분석입니다.
북한 내부사정에 밝은 중국의 한 대북 사업가는 “북한정권이 주민들을 대상으로 내년에 강성대국의 문을 연다고 요란하게 선전해왔지만 지금상태로는 식량사정이 금방 나아질 것 같지는 않다”며 “외부로부터의 대규모 식량지원을 기대하면서 주민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선전선동으로 보인다”고 풀이했습니다.
북한은 해마다 식량부족으로 약 100만톤 가량을 수입과 외부지원에 의존해야 하는 형편으로 한국을 비롯한 외부로부터 대규모 식량지원이 끊긴 이래 일반주민들에 대한 식량 배급체계가 와해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에는 일반 주민들은 물론 초급당간부들과 군 초급간부까지도 식량배급을 받지 못해 불만이 팽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