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년에 북한의 군량미 사정이 그 어느 해보다 심각할 것이라는 예상이 대북소식통에 의해 제기되었습니다. 우선 민생을 챙기라는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지시에 따라 상대적으로 군량미 확보가 예년에 비해 대폭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소식입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내년도 북한의 군량미 사정에 빨간 등이 켜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중국을 방문한 북한 관료로부터 내년도 군량미 사정이 매우 심각할 것이라는 얘기를 들었다"고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가을걷이가 끝난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내년도 군량미 부족 얘기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또 "김정은 제1비서가 협동농장으로부터 과도한 군량미 징수를 자제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예년에 비해 농장원들에게 현물분배가 늘어난 대신 상대적으로 군량미 징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는 것이 북한 관료들의 전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같은 사실은 지난달 중국을 방문한 황해도 주민이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밝힌 "금년엔 농촌에 현물분배가 어느 정도 이루어져 농민들이 배고픔을 덜게 되었으며 장마당 쌀값도 하락했다"는 말과 맥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평양에 살다가 중국에 정착한 화교 장 모씨는 "군량미 사정과 일반 주민들의 식량 사정은 항상 엇갈리는 현상"이라며 "식량생산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탓에 농장에 현물 분배를 좀 후하게 했다면 군량미는 그만큼 줄어들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장씨는 "가을에 미리 확보해 둔 군량미를 주민들의 식량난이 극심해지면 일부를 민생용으로 돌려 급한 불을 끄는 일이 반복되기 때문에 여유로 비축해 놓은 군량미가 별로 없다는 말은 맞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남한에 정착한 탈북자 오 모씨는 "북한의 군량미와 주민들의 식량사정은 '윗돌 뽑아 아랫돌 고이는 것과 마찬가지'" 라며 "부족한 군량미에 대한 해결방안은 내놓지 않고 무조건 자력갱생하라고만 하니 굶주린 병사들이 민간인들을 상대로 약탈을 일삼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 "남한의 재정규모와 비교도 할 수 없는 북한이 남한의 2배가 넘는 1백 20만의 군 병력을 보유한다는 자체가 만성적인 군량미 부족사태를 불러오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