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 국민의 63%는 대북 쌀 지원에 반대하는 걸로 조사됐습니다. 북한의 연이은 무력 도발과 분배 투명성의 부재가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한겨레 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29일 보도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에 쌀을 ‘지원해선 안 된다’는 의견이 62.7%로 나타났습니다. ‘지원을 재개해야 한다’는 의견은 이처럼 36.2%였습니다.
대북 쌀 지원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우세한 것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도발이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합니다. 통일연구원 조한범 박사입니다.
조한범:
특히 연평도 포격 사건은 행위 주체가 명백하기 때문에 그 사건을 계기로 한반도 무력도발의 주체가 명확하게 북한이라는 견해가 국민들에게 확산됐고, 이 견해가 대북 지원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나타난 것으로 저는 판단합니다.
북한의 무력 도발에 덧붙여, 민간인을 지원하기 위해 북한에 보낸 물자가 군대로 들어가는 걸 원치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함께 제기되고 있습니다. 경남대 김근식 교수입니다.
김근식:
이것은 또 그동안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던 대북 쌀 지원의 분배 투명성 문제와 함께 결합되면서, 우리가 북에 지원하는 쌀과 식량이 북한의 군사력 강화로 이어지고, 이것이 다시 북한의 군사적 도발의 토대가 되었다는 국민적인 여론이 상당히 늘어나고 있는 걸로 해석됩니다.
유엔은 24일 북한 주민 6백만 명 이상이 긴급 식량지원을 필요로 한다면서 43만 톤의 국제적인 지원을 권고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통일부는 28일 대북 쌀 지원 문제와 관련해 “현재 쌀 지원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국제사회의 대북 식량지원 권고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부가 이처럼 기존 입장을 고수하는 건 대북 식량 지원에 대한 국민 여론이 부정적이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