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주민들속에서 개인 뙈기밭 거래가 활발해 지면서 땅값도 크게 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개인 뙈기밭 땅값이 오른 데는 김정은 체제의 장래에 대한 북한주민들의 불안감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주민들속에서 뙈기밭은 단순히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만이 아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뙈기밭이 생계를 넘어 부의 축적수단으로 인기를 끌면서 값도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8일,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이젠 힘없는 사람들은 뙈기밭조차 마음대로 가질 수 없는 세상이 됐다”며 “힘 있는 간부들과 보안원들까지 개입해 힘없는 사람들로부터 뙈기밭을 거의 강제로 빼앗아내는 실정”이라고 북한의 현실을 개탄했습니다.
간부들과 보안원들이 힘없는 뙈기밭 주인들을 협박해 하는 수 없이 땅을 팔게끔 유도하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입니다. 힘 있는 자들의 압력에 못 이겨 억울하게 팔리는 땅은 간부들과 보안원의 친인척들의 손에 넘어간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간부들과 보안원들은 자신들의 이름으로 땅을 보유할 수 없으니 가족들과 친척들을 동원해 큰 규모로 경작용 뙈기밭들을 사들이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입니다.
같은 날 양강도의 한 소식통도 “뙈기밭 거래는 지역에 관계없이 땅의 각도에 따라 가격을 정한다”며 “국가가 허용한 경사각 15도 미만의 땅은 평당 중국인민폐로 1원(북한 돈 1천230원)”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까지 이러한 땅은 북한 돈 350원이면 살 수 있었는데 지금은 그때보다 4배 이상 값이 올랐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북한 당국은 개인들의 뙈기밭의 경우 산사태나 산림유실을 구실로 15도 미만의 땅만 허용하는데 그 이상의 밭들은 언제 당국에 빼앗길지 모르기 때문에 값이 많이 오르지 않는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자신들이 살고 있는 마산동 주변 뙈기밭들 중 절반 정도가 혜화동에 살고 있는 리 모씨 땅이라며 리 모씨는 도당 조직지도부 부부장의 형이라고 지목했습니다. 땅주인 명의는 형이지만 실제로 그 땅들은 모두 도당 조직지도부 부부장의 땅이라는 게 그의 주장입니다.
특히 소식통들은 간부들과 돈 있는 사람들이 개인 땅을 사들이는 이유에 대해 “지금 사들인 땅은 앞으로 영원히 자신들의 소유가 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라며 “그 이면에는 김정은 체제에 조만간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나름대로의 판단이 깔려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