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중국이 철도와 도로, 항로 등 대북 교통망을 확충할 계획을 잇따라 밝혔습니다. 북한에 대한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에 동참하면서도 계획된 경제협력은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의지로 해석 가능해 주목됩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지린성이 북중 간 철도, 도로 노선을 대폭 확충할 계획이라고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환구시보가 27일 보도했습니다.
신문은 지린성이 북중 접경지역인 투먼과 북한의 나진, 청진항을 각각 연결하는 철도 노선을 개선하고 고속도로도 건설키로 했다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지린성의 북중 간 교통시설 확충 방침은 양국이 공동 추진중인 북한 나선특구와 두만강 유역 개발을 염두에 둔 걸로 해석됩니다.
지린성은 앞서 지난 달 중순에도 북중경협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어 새로울 건 없다는 평가입니다.
내륙에 위치해 그 동안 개발이 더뎠던 지린성 등 중국 동북3성으로선 지역개발을 위해 필수인 북한의 항구 확보를 위해서라도 북중경협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미국 국무부도 이날 정례 회견에서 중국 지방정부 차원의 방침으로 평가절하했습니다.
패트릭 벤트렐 국무부 부대변인: 중국의 특정 지방정부 결정에 대해선 잘 모르지만 중앙 정부에 우리의 우려를 반복해서 설명했고 중국도 우리 입장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3차 핵실험을 계기로 중국이 북한에 대해 통관 검사를 강화하고 불법 송금을 단속하는 등 최근 강경한 태도를 보인 걸로 알려진 터여서 눈길을 끕니다.
유엔 차원의 제한적인 대북 제재에는 동참하되 예정된 대북 경협은 그대로 진행한다는 중국 당국의 신호로 해석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중국은 최근 북한의 고려항공이 운항해온 베이징~평양 간 정기 항공편을 내달 12일부터 주 3회에서 5회로 늘리는 계획을 최종 승인해 이를 뒷받침했습니다.
아직 이르긴 하지만 북한이 외국인의 방북 확대를 위해 중국 측에 요청한 항공노선 증편을 중국 중앙정부가 받아들인 건 경협 지속을 양해한 걸로 볼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한국 통일연구원 박형중 선임연구위원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더 강화된 상태에서 북한이 중국에 더 매달릴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였다고 지적했습니다.
박형중 선임연구위원: 이제 북중관계에서 북한이 생존을 위해서 중국을 통해서 외화를 벌어야 되는 사정이 더 다급해졌다고 생각됩니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하지만 북한의 최대 수출품인 광물자원의 개발을 위한 중국 측 투자가 예상만큼 매끄럽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북중 간 경협이 중국 중앙정부의 양해 아래 계속 진행된다 하더라도 난관은 여전하다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