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정부가 중국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들이 가공한 해산물 뿐만 아니라 다른 물품의 수입을 차단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세관국경보호국(CBP)은 6일 “미국 소비자들의 해산물 소비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비용에 도움이 된다면 모든 단속 조치를 통해 해당 식품 뿐만 아니라 다른 물품(as well as any other goods)의 수입을 금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AP통신이 최근 보도를 통해 중국 훈춘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들이 가공한 연어 등 해산물을 소비한다면 미국 소비자들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비용을 대는 셈이라고 보도한 데 따른 입장입니다.
북한은 전 세계에 노동자 수만명을 파견해 수익을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 노동자들이 벌어들이는 수익은 연간 약 2억에서 5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 통신은 “북한 노동자들이 가공하는 제품 중 일부가 미국에 흘러들어온 것을 확인했다”며 “캐나다와 유럽연합(EU) 회원국 등 다른 곳에서 만든 제품을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보도가 나온 직후 대형유통업체 월마트는 “북한 노동자들을 고용한 중국 공장에서 가공하는 해산물을 수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현재 또 다른 유통업체 로런스 홀세일도 자사 공급업체들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대형 마켓인 알디(Aldi)는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았습니다.
한편, 월마트 관계자는6일 기존에 남아있는 해산품에 대해서 어떻게 할 것인지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정부 방침을 따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 미국 소재 한인 대형유통업체들도 6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북한산 해산물이나 북한 노동자를 고용해 가공한 수산물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관계자 : 저희는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희가 알고 있는 한에서는 없습니다.
그러면서 한인 대형유통업체들도 미국 정부의 지침을 따를 것이라는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그동안 대북 제재와 관련, 자금줄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외국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들의 강제 송환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해왔습니다.
이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달 대북제재 결의 2375호에 외국 내 북한 노동자의 신규 허가 금지 조치를 포함했습니다.
그동안 대북 경제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해온 크리스 스미스 미국 하원의원은 “미국 노동부 조사 결과 중국산 수출품 12개 품목에서 북한 노동자들의 강제 노동 사실이 확인됐다”며 “세관국경보호국은 면밀한 검사를 통해 다양한 해산 품목에 대한 수입 금지 조치를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민주당의 척 슈머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최대 무역국인 중국이 북한간의 무역은 물론 북한 노동자를 고용할 수 없도록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압력을 가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