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40%“천안함 사과해야 대북 쌀지원”

0:00 / 0:00

MC:

한국 국민 10명 중 4명이 천안함 폭침사건에 대한 북측 당국의 사과가 없으면 북한에 쌀을 보내는 것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3월 천안함 폭침사건이 북한 소행으로 드러나고 한국 정부가 대북 강경대응을 천명하면서 한국 국민들 역시 북한에 대한 감정이 급격히 나빠지기 시작했습니다.

시민1: 어떤 조건으로든지 여기서 어떤 할 수 있는 데까지는 강력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봐요.

시민2: 공식적으로 대한민국과 전 세계에 사과하지 않는 한은 모든 교류를 단절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민3: 피해를 입었고 무고한 국민들이 죽었는데, 그래서 어느 정도의 강경한 태도는 맞다고 생각이 들어요.

한국 국민들은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대북 쌀 지원에 대해서도 “천안함 사건에 대한 북한의 사과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28일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윤상현 의원에 따르면 최근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41%가 대북 쌀 지원의 선결조건으로 ‘천안함 사태에 대한 북한의 사과 및 재발방지 보장’을 꼽았습니다.

‘북한의 태도변화와 상관없이 지원하면 안된다’는 응답도 22.8%에 달해 앞선 조건부의 지원까지 포함하면 대북 쌀 지원에 부정적 의견이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북한의 태도변화와 상관없이 지원해야 한다’는 무조건의 인도적 지원은 32.5%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대북 쌀 지원 결정을 어렵게 하는 이유로는 ‘군량미로 전용 가능성’이라고 대답한 응답률이 41.5%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주민들에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 29.1%, ‘김정은 후계세습체제 등 정치적 이용 가능성’이 13.9%로 집계됐습니다.

그 동안 지원해온 쌀의 분배와 관련해선, ‘상당부분 군량미 등으로 전용되고 있다’는 응답이 49%, ‘특권층에게만 전달되고 있다’는 응답은 29.8%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일반 주민에게 잘 전달되고 있다’는 응답은 16.7%에 머물렀습니다.

대북 쌀 지원을 통한 북한의 태도변화 가능성에 대해선 ‘일시적인 효과는 있겠지만, 근본적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53.8%로 ‘북한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 30.2%까지 포함하면 부정적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